3일 국회 운영위원회 전체회의에선 야당이 여당을 두둔하며 청와대를 몰아붙이는 이례적인 상황이 벌어졌다. 지난달 25일 박근혜 대통령의 국회법 개정안 재의 요구와 이후 불거진 새누리당 유승민 원내대표 거취 문제가 쟁점으로 떠오르면서다. 당시 박 대통령이 읽어내린 국무회의 원고를 누가 작성했는지에 대해서도 추궁이 이어졌다. 원고엔 ‘구태정치’ ‘끊임없는 당파싸움’ ‘배신의 정치’ 등 국회를 겨냥한 거친 표현이 여럿 들어 있었다.
◇靑, 劉 공격에 野 나서 “국회에 대한 도전”=야당은 박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와 국회 비판 발언을 문제 삼았다. 박 대통령이 국회의원 시절, 이번에 재의를 요구한 법안과 같은 취지의 국회법 개정안을 공동 발의한 사실을 부각시켰다. 새정치민주연합 강동원 의원은 “지난달 25일은 대통령이 국회를 침공한 날”이라고 말문을 열었다. 이어 “신경질적으로 막말과 협박을 쏟아냈다” “용상에 앉아 대감들을 호통치는 제왕을 연상케 했다” “현대판 왕정이 부활하고 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새누리당 의원들은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는 헌법상 권리라고만 언급했다.
이 과정에서 야당은 박 대통령의 국무회의 발언 초안을 공개할 것을 요구했다. 현정택 청와대 정책조정수석비서관은 ‘초안과 대통령이 최종적으로 읽은 내용이 대동소이하냐’는 질문이 거듭되자 “100% 일치하지 않는 건 사실”이라고 답했다. 박 대통령이 원고를 직접 작성·수정했음을 공식 인정한 셈이다.
친박(친박근혜)으로부터 사퇴 압박을 받고 있는 유 원내대표 거취도 도마에 올랐다. 야당은 유 원내대표를 감싸고 여당은 입을 닫았다. 야당 입장에선 청와대와 국회 간 대립으로 전선을 넓히는 동시에 여권 내홍의 틈새를 더 벌려놓기 위한 의도로 해석됐다. 운영위 소속 새누리당 의원들 중 다수가 ‘유승민계’인 점과도 무관치 않다는 평가다.
하지만 정작 유 원내대표는 청와대를 겨냥한 정치 공세를 적극 차단했다. 그는 야당에 “대통령에 대한 표현을 할 때 예의를 갖춰 달라”고 당부했다. 또 ‘성완종 리스트’에 올랐던 이 비서실장의 신상발언을 듣자는 요청에 대해 “결산을 위한 운영위에서 제가 비서실장한테 물어야 할 이유가 없다”고 잘랐다.
이 비서실장은 박근혜정부 들어 청와대 업무보고 때마다 등장하는 대면보고 여부에 대해선 “언제든 (대통령을) 독대할 수 있고 무슨 보고든 드릴 수 있다”고 강조했다.
◇劉·李 ‘7분 회동’=회의가 끝나고 유 원내대표와 이 비서실장은 운영위원장실에서 따로 만났다. 유 원내대표가 “차 한 잔 하자”고 먼저 제안해 성사된 만남이지만 7분 만에 끝났다. 회동 직후 유 원내대표는 “별 얘기 안 했다”고 했다. 이 비서실장은 “지금부터는 입이 없다. 정말 아무 말도 안 하겠다”고 자리를 떴다. 이 비서실장은 운영위 전체회의에 참석하기 전엔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를 만났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
[관련기사 보기]
[국회 운영위 靑 업무보고] 與는 입 닫고… 野, 유승민 두둔하며 靑 공격
입력 2015-07-04 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