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케미칼 울산 2공장에서 발생한 폭발 사고는 전형적인 인재(人災)다. 폐수처리장 저장조 용량 확대공사 과정에서 배관 용접을 하다 가연성 가스에 불꽃이 튄 것으로 추정된다. 이런 후진국형 사고로 근로자 6명을 잃었다니 어이가 없다. 대기업에서 도대체 작업 관리를 어떻게 했길래 이런 사고가 났단 말인가.
한화케미칼 측은 작업 시작 전 현장 주변의 인화성 가스 농도를 측정하고, 근로자들이 안전장구를 갖췄는지 확인했다고 주장하지만 믿기 어렵다. 저장조 내부의 가스 농도를 측정하지 않은 것이 사고를 부른 게 아닌지 살펴봐야겠다. 초대형 사고로 이어지지 않은 게 그나마 다행이란 생각이 들 정도로 아찔하다.
울산에는 유독·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업체가 전남에 이어 두 번째로 많다. 특정 지역에 이런 사업체가 밀집해 있기 때문에 화약고나 다름없다. 울산시와 기업체, 노동부, 검찰과 경찰이 산업 현장의 안전수칙 준수 캠페인을 벌이고 있음에도 이런 사고가 발생해 안타깝다. 인명피해를 동반한 안전사고가 연이어 발생한다는 것은 당국의 안전 대책이 아직도 미흡하다는 뜻이다.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하고, 사고 발생 시 책임자를 보다 엄하게 처벌할 필요가 있다.
대기업 사업장 사고의 주 원인은 위험한 작업을 하청업체에 맡기기 때문이다. 하청업체는 아무래도 근로자 안전보다는 작업을 독려하는 데 주안점을 둘 가능성이 크다. 대기업 사업장에 사고가 났다 하면 하청업체 직원이 피해자란 사실이 이를 증명한다. 이번 한화케미칼 사고도 마찬가지다. 정부가 이에 대한 개선점을 찾지 않고는 사고를 막기 어렵다. 위험한 작업을 하청업체에 맡기는 데 일정한 제한을 두고, 사고 발생 시 원청 대기업의 책임을 강화하지 않으면 안 된다.
[사설] 이번엔 울산에서 터진 후진국형 안전사고
입력 2015-07-04 00: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