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마지막 남은 대규모 신개발지 ‘마곡지구’를 첨단 연구개발(R&D) 중심의 산업·업무 신도시로 조성하기 위한 2단계 마스터플랜이 가동된다.
서울시는 현재 기반시설 조성 공정률이 80%에 달하고 산업단지 토지분양률이 60%에 이르는 등 마곡지구의 전체 윤곽이 드러남에 따라 중장기적 개발전략인 ‘2단계 마스터플랜’ 수립에 착수한다고 2일 밝혔다.
2단계 마스터플랜의 주요 추진 내용은 전략적 미래 유보지 설정, 외국기업 유치를 위한 글로벌센터 건립, 중소·영세기업 유치 활성화방안, 난개발 우려에 대한 정밀 검토 등이다.
전략적 미래 유보지는 2020년 이후 산업 트렌드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일부 산업용지를 비워두는 것이다. 이후 전문가 연구를 통해 적정 규모, 위치, 기간 등을 정하게 된다. 유보지는 시민 편의시설, 가건물식 기업홍보 전시관 등으로 임시 사용되다 정기적으로 마곡지구 발전방안과 연계해 매각 여부를 검토한다는 계획이다.
시는 외국기업들이 집적해서 입주할 수 있도록 2020∼2025년을 목표로 글로벌센터 건립을 추진하고 외국기업에 추가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방안 등을 마련할 예정이다. 현재 마곡산업단지(산단)에 입주계약을 체결한 68개 기업 중 외국기업은 2개에 불과하다. LG 등 국내 대기업과의 협업을 염두에 두고 마곡산단 입주를 타진하는 외국기업들이 있는 만큼 마곡의 연구활동이 활성화되는 시점을 감안해 공급시기와 규모를 집중 검토할 계획이다.
아울러 시는 중소·영세기업 유치를 위해 소규모 필지(800㎡이하) 공급, ‘공공지원형 지식산업센터’ 임대 지원 등 초기 투자부담을 줄여주는 방안을 검토한다. 현재 마곡산단 내 입주 가능한 필지규모는 최소 1000㎡ 정도로, 여기에 입주하려면 최소 100억원 이상이 소요돼 중소·영세기업에게는 큰 부담이 된다. 공공지원형 지식산업센터는 독립건물 사용이 곤란한 영세기업과 연구개발에 전념하려는 소기업에 사무실을 임대해주기 위한 방안이다.
또 마곡지구 내에 소규모(30㎡ 미만) 오피스텔 과잉 공급으로 지역 슬럼화가 우려된다는 지적에 따라 오피스텔 건립이 가능한 용지는 내년까지 매각을 보류하고, 적정수요를 파악해 필요한 경우 지구단위계획으로 용도를 제한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서울시는 이달 마곡지구 개발사업 전반에 대한 전문가 연구용역에 착수해 내년 3월까지 마무리하고, 그 결과를 반영해 내년 상반기 중 마스터플랜을 결정할 계획이다.
김재중 기자 jjkim@kmib.co.kr
마곡지구 개발 ‘2단계 마스터플랜’ 가동
입력 2015-07-03 02: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