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청이 마침내 오는 11월초부터 안동·예천 신청사로 본격 이전한다.
김관용 경북지사는 1일 “10월 중 이전을 준비해 11월초쯤 이전을 시작해야 될 것으로 본다”며 “주요 부서가 먼저 이사를 하고 미진한 부분은 보완하는 등 가능한 한 이전을 앞당겨야 한다”고 말했다.
또 “조기에 도청을 옮긴다는 원칙에는 변함이 없다”며 “미진한 정주여건을 개선하기 위해 독신자 숙소 건립 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김 지사는 신 청사 개청식과 관련, “도민들의 축복뿐 아니라 나라의 축복을 받아 개청식을 해야 한다”며 “대통령 등 주요 인사들을 모시고 내년에 날짜를 정해서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구체적인 계획이나 이전 완료시기는 밝히지 않았다.
경북도의회와 동반 이전은 사실상 어려울 전망이다.
장대진 경북도의회 의장은 이미 오는 9월에 도의회를 이전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에 대해 김 지사는 “의회 이전은 의회의 뜻을 존중하겠다”며 “대구에서 안동 신 청사까지는 자동차로 1시간 20분 거리여서 협조할 일이 생기면 즉각 달려가면 된다”고 말했다.
논란이 되고 있는 신도시 명칭도 도청 이전작업을 모두 끝낸 뒤 선정할 계획이다. 도는 지난 5월 신도시 이름을 공모해 ‘동천’, ‘예안’, ‘퇴계’ 등을 우수작으로 선정했으나 최종 결정하지 못하고 있다.
공식적인 이전시기가 발표됐지만 이전에는 상당한 부작용이 우려된다.
아직 도청 이전 신도시엔 정주여건이 턱 없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학교는 고사하고 살 집조차 턱없이 모자라는 실정이다. 도는 고육지책으로 한동안 전세버스 수십 대를 빌려 직원들을 출퇴근시키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럴 경우, 수 십 억원에 이르는 전세버스 임대료와 하루 3시간이나 걸리는 출퇴근 시간 등으로 행정력이 낭비될 수밖에 없다.
내년도 국비 예산을 확보하는데도 차질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 부처의 예산작업은 9월부터 본격화되고 12월 초부턴 국회 상임위가 열린다.
도 본청 예산부서는 물론이고 각 실·국장들은 하루가 멀다 하고 중앙부처와 국회를 찾아다니며 사업의 당위성을 설명해야 한다. 이사를 하느라 분주한 시기에 예산작업이 제대로 될 지 의문이다.
상당 수 도청 직원들은 “차라리 학교가 개교하기 직전인 내년 2월쯤으로 이전시기로 정하는 게 합리적”이라며 “한 해 농사를 마무리하는 시점에 꼭 이전을 해야 하는지 그 이유를 모르겠다”고 말했다.
대구=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
경북도청 안동·예천 신청사 11월초 이전 확정… 학교는커녕 정주여건 태부족
입력 2015-07-03 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