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집권 자민당이 전후 70년 담화(아베 담화)에서 군위안부가 성노예임을 부정할 것을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에게 제언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자민당의 ‘일본의 명예와 신뢰를 회복하기 위한 특명위원회’(위원장 나카소네 히로후미 전 외무상)는 1일 도쿄의 당 본부에서 회의를 열어 아베 총리가 8월쯤 발표할 전후 70년 담화와 관련한 제언의 골자를 정리했다고 교도통신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골자 안에는 군위안부를 ‘성노예’로 표현하는 데 대해 정정을 요구해야 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이는 일본군 위안부 제도를 ‘성노예제’로 규정하고 일본에 법적 책임 인정과 배상을 권고하는 내용을 담은 1996년 유엔 보고서(일명 쿠마라스와미 보고서) 등을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고 교도통신은 전했다.
제언 골자는 또 국제기구에서의 홍보 등을 통해 군위안부와 관련한 일본의 주장을 전달해야 한다는 내용도 담았다. 반면 군위안부 피해자들이 여성으로서의 존엄성을 손상당했음을 인정한다는 입장도 포함됐다고 교도는 소개했다. 특명위원회는 이달 안에 제언을 최종 정리할 방침이다.
전후 70년 담화 관련 자문기구인 ‘21세기 구상 간담회’의 좌장 대리인 기타오카 신이치 국제대학 학장은 전날 BS 후지TV의 프로그램에 출연해 “상대의 반응도 모른 채 일본 국민을 대표하는 총리가 일방적으로 사죄를 계속하는 것에 반대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가장 중요한 것은 역사를 직시하는 것이다. 침략과 식민지배다. 왜 잘못을 했는지를 솔직하게 반성하는 미래의 지침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히기도 했다고 교도통신이 전했다.
이종선 기자
“전후 70년 담화때 군위안부, 성노예 부정하라” 日 자민당, 아베에 제언 방침
입력 2015-07-02 0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