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 ‘정치’ 거리두고 ‘정책 행보’… ‘劉 거취’ 언급 않고 국정 챙겨

입력 2015-07-02 02:36
박근혜 대통령이 1일 서울 송파구 올림픽체조경기장에서 열린 제17기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출범회의에 참석해 참석자들에게 손을 흔들고 있다. 오른쪽은 현경대 민주평통자문회의 수석부의장. 연합뉴스

지난 25일 ‘배신의 정치’ 발언을 했던 박근혜 대통령이 이후 일절 정치 현안에 대한 언급을 삼간 채 정책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국회법 개정안에 대한 거부권 행사와 함께 ‘당리당략에 매몰돼 있다’고 여야 정치권을 싸잡아 비판하면서 “국민만 보고 가겠다”고 한 언급을 행동에 옮기는 차원이라는 분석이다.

박 대통령은 지난 25일과 29일에 이어 1일 청와대에서 제3차 핵심 개혁과제 점검회의를 주재했다. 이 자리에선 ‘기업형 임대주택 활성화와 서민 주거비 부담 완화’ ‘자유무역협정(FTA) 전략적 활용’ 등 2개 과제 추진 상황에 대한 토론을 벌였다. 박 대통령은 회의에서 “행정부는 시대 흐름과 국민 수요에 맞춰서 우리 국민이 젊은이고 중년이고 노년이고 ‘집 걱정 안 하고 살게 해주겠다’는 강한 의지를, 목적의식을 마음에 갖고 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중국 내수시장 진출에 대해선 “중국 낙후지역 빌딩을 활용해 한류문화, 한식, 헬스케어 등을 집적한 ‘코리아타운’을 구축하고 우리 중소기업이 이를 잘 활용한다면 더욱 많은 성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청와대도 각종 개혁과제를 최대한 속도를 높여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여기엔 올 하반기가 각종 개혁과제에서 가시적 성과를 낼 수 있는 사실상의 마지막 기회라는 점이 감안됐다. 특히 국회법 거부권 행사, 새누리당 유승민 원내대표 거취 논란으로 대국회 관계는 물론 당청 관계까지 경색된 상황에서 정책 이행에 진력하는 것 외에 별다른 선택의 여지가 없다는 인식도 고려된 듯하다. 청와대 내부적으론 박 대통령의 사퇴 촉구에도 불구하고 여당 내에서 유 원내대표 거취가 빨리 결정되지 않는 현 상황이 난감하다는 기류도 많다.

한편 박 대통령은 오후에는 서울 올림픽공원 체조경기장에서 열린 제17기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출범회의에 참석했다. 박 대통령은 축사를 통해 “빈틈없는 안보태세를 유지하는 가운데 대화를 위한 노력도 강화해 나가야 한다”며 “북한도 이제 용기 있게 대화의 장으로 나와 남북한 모두를 위한 최선의 길을 함께 찾아나가야 할 것”이라고 했다. 또 “우리는 모든 현안을 대화 테이블에 올려놓고 허심탄회하게 대화를 나눌 준비가 돼 있지만 북한은 전제조건만 제시하며 호응해오지 않고 있다”고도 했다. 이어 “평화는 그냥 주어지는 게 아니다. 강한 힘과 용기 있는 결단으로 지켜진다”면서 “기존의 남북 간 합의서들은 하나같이 평화를 강조하지만 지난 70년 동안 한반도에서 전쟁의 두려움이 사라졌던 시기는 한순간도 없었다”고 했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