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큰 재앙 대비 외양간은 고쳐야”… 지자체 신종 감염병 대책 분주

입력 2015-07-02 02:55
중동호흡기중후군(메르스) 사태를 겪은 지자체들이 신종 감염병 차단·예방을 위한 대비책 마련에 적극 나서고 있다. 인명피해는 물론 주민들의 극심한 공포·불신, 지역 경기 침체 등 감염병의 무서움을 새삼 절감했기 때문이다.

대구시는 국·시비 8억원으로 ‘대구시 감염병 관리본부’를 설치해 감염병 예방·관리·대응 능력을 강화하기로 했다고 1일 밝혔다.

또 대구의료원 내에 감염내과를 신설하고 신종 감염병 대비 중증환자 진료를 위한 ‘감염병동’도 증설하기로 했다. 현재 6개뿐인 경북대병원의 음압병상을 20병상 정도로 늘리고 영남대병원, 대구가톨릭대병원에도 독립된 음압병상을 3병상씩 설치할 계획이다.

특히 응급실 감염병 예방을 위해 카드 소지자만 출입할 수 있는 스마트 통제시설을 설치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무분별한 보호자 출입으로 인한 감염 위험 등을 막기 위한 것이다. 이와 함께 병·의원 간 감염병 발생 정보 공유 시스템 개발, 민·관 의료협력체계 및 감염병 관리 네트워크 구축 등도 계획하고 있다.

인천시도 감염병 방역체계 구축에 돌입했다. 메르스 대책본부 운영 결과를 토대로 새로운 감염병 방역체계를 확립한다는 생각이다. 지휘체계, 역학조사, 환자이송·병상배치, 의심환자·접촉자 관리, 환자발생·경유병원 접촉자 신고, 검사·결과보고 등 단계별 대응체계를 갖추기로 했다.

또 보건기관 기능 확대, 병원 의료진의 감염병 관리시스템 강화, 다인실 중심 병동문화 개선, 의료전달체계 확립 등을 정부에 건의할 방침이다.

부산시는 부산의료원 내에 20개 음압병상, 70개 일반격리 병상 등을 갖춘 지상 3층 규모의 ‘감염병 전용 병동’ 건립을 검토 중이다. 시는 감염병 진료체계 매뉴얼도 재정비했다. 부산시의회도 전문가들이 권한을 갖고 즉각 움직일 수 있는 상시적 대응체계가 필요하다고 보고 감염병 예방·차단 ‘컨트롤 타워’ 구축에 앞장서고 있다.

충북도는 최근 정부에 지역 거점별로 국립의료원을 설립하거나 지방의료원을 국립으로 전환해달라고 건의했다. 국립의료원이 서울 한 곳에만 있어 지역별 보건의료 지원에 불균형이 초래되고 체계적인 대책 수립이 어렵다는 것이다. 충북도는 또 지방의료원을 지역 거점 전문병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시설비, 의료장비 구입비, 운영비 등을 정부에 요청했다.

대전시는 건립을 추진 중인 대전시립의료원에 바이러스성 질환 특화병원 기능을 포함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원래 대전시립의원 건립을 추진하면서 노인복합시설 특성화 병원을 구상했지만 메르스 사태 이후 이 같은 방침을 세웠다. 대구=최일영 기자, 전국종합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