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핵 문제 해결을 위한 주요 6개국(유엔 안전보장이사회 5개 상임이사국+독일)과 이란 간 최종협상 타결시한이 오는 7일까지로 1주일 연기됐다. 마리 하프 미국 국무부 전략커뮤니케이션 담당고문 겸 대변인 대행은 30일(현지시간) 양측이 이같이 결정했다고 밝혔다.
양측은 이란 군사시설에 대한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찰 허용 여부 등 민감한 쟁점과 큰 틀의 ‘핵 프로그램 포기 대(對) 제재 해제’ 맞교환 시행 절차를 두고 충돌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군사시설 사찰 문제와 관련해 주요 6개국은 핵무기 제조 관련 기술을 개발할 가능성이 있는 이란 북부 파르친과 포르도의 우라늄 농축 시설을 IAEA의 사찰 대상에 포함시켜야 한다고 주장하는 반면 이란은 국가 안보와 직결된 문제라며 불허하겠다고 맞서고 있다.
최근 이란 의회는 이를 위해 IAEA의 일반 사찰 외 군사·안보시설 사찰 금지, 평화적 핵기술의 무제한적 연구·개발, 이란의 합의 이행과 동시에 유엔·미국·유럽연합(EU)의 대이란 제제 해결을 뼈대로 한 법률을 가결했다.
이에 맞서 주요 6개국을 이끄는 미국 상원은 이란 핵협상 의회승인법을 처리하고, 합의안 의회 검토기간을 30일로 정해 이 기간에는 정부가 대이란 제재를 해제하지 못하게 했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지우마 호세프 브라질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한 후 가진 공동 기자회견을 통해 “나쁜 협상으로 흐르면 언제든 협상을 중단할 수 있다”며 이란에 양보를 압박했다. 하산 로하니 이란 대통령은 자국 언론에 “서로 합의한 것을 철저하게 지켜야 한다”면서 “만일 상대가 합의를 어긴다면 우리는 과거로 되돌아 갈 것이며, 그것은 상상 이상으로 강력할 것”이라고 맞받았다.워싱턴=배병우 특파원
‘이란 핵’ 일주일 더 협상하기로
입력 2015-07-02 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