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유승민 원내대표의 거취를 둘러싼 내홍은 외견상 한풀 잦아들었다. 사퇴를 촉구하는 친박(친박근혜)이나 이에 반대하는 비박(비박근혜) 모두 집단행동은 잠시 접고 숨고르기에 들어간 모습이다. 그렇다고 상황이 달라진 건 아니어서 작은 불씨에도 갈등이 폭발할 수 있다.
유 원내대표 사퇴를 강하게 요구해 왔던 친박은 30일 공개 발언을 자제했다. 일단 유 원내대표에게 정리할 시간을 주자는 분위기다. 이장우 의원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당과 청와대, 국정 전반을 위해 지금이라도 사퇴하는 게 최선이지만 유 원내대표가 고민해보겠다고 했으니 지켜보겠다”고 했다. 그러면서도 “사퇴 마지노선은 6일”이라고 못 박았다. 오는 6일 본회의에서 국회법 개정안을 부결시키고, 이를 명분 삼아 거취도 정리해야 한다는 의미다.
비박에서도 몇몇 의원이 장외에서 사퇴불가 목소리를 냈을 뿐이다. 정두언 의원은 MBC라디오에 출연해 “당이 압도적으로 재신임했다가 대통령 말 한 마디에 결론을 바꾼다면 당은 국민들로부터 웃음거리가 되고 민심도 떠날 것”이라고 지적했다. 황영철 의원은 “지금 상황에서는 유 원내대표가 좀 더 생각을 정리하고 거취를 고려하는 시간을 주는 것이 도리”라고 했다.
양측이 잠시 휴전에 들어간 건 현실적으로 당장 취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서다. 친박은 전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유 원내대표 사퇴를 매듭지으려 했지만 무위로 끝났다. 유 원내대표 거취를 논의할 의원총회 소집 계획은 접었다. 유 원내대표가 다시 재신임을 받으면 더 이상 흔들 명분이 없어지기 때문이다. 결국 여권 내분 장기화에 따른 국정운영 마비, 국회 파행 등을 집중 부각하면서 그 책임을 유 원내대표에게 돌리는 식으로 사퇴를 압박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김무성 대표가 의원들에게 “엄중한 시기에 자숙하는 모습이 필요하다”며 함구령을 내린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비박에서도 유 원내대표가 자리를 지키는 한 당청 관계는 회복되기 어렵다는 인식이 퍼지고 있다. 유 원내대표 거취 문제를 넘어 당청 갈등을 수습할 방안을 찾아야 할 상황이다. 친박의 공세 수위에 따라 비박이 재결집에 나설 가능성이 있어 당분간 아슬아슬한 분위기가 이어질 전망이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
친박도 비박도 일단 숨고르기… 비박, 유승민 사퇴는 시기의 문제 분위기 퍼져
입력 2015-07-01 02: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