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부권 정국 파장] 비박 ‘유승민 지키기’ 어디까지… 정치적 타격 염두 집단행동 주저

입력 2015-06-29 02:14
박근혜 대통령의 정면 공격으로 사퇴 압박을 받고 있는 새누리당 유승민 원내대표의 거취가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28일 찾은 국회 새누리당 원내대표실이 텅 비어있다. 이병주 기자

새누리당은 유승민 원내대표 거취 문제를 두고 둘로 갈라져 있다. 유 원내대표 사퇴를 강하게 촉구하는 쪽이 일부 친박(친박근혜)이라면 비박(비박근혜) 다수는 ‘유승민 지키기’로 기울어져 있다.

한 의원은 28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지난 25일 의총에서 유 원내대표를 신임하자는 게 대세였다”며 “이를 무시하고 막무가내로 사퇴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건 친박이 조바심을 내고 있다는 방증”이라고 했다. 또 다른 의원은 “대통령의 판단을 흐리게 하는 것도 친박이고, 대통령을 자극하는 것도 친박”이라고 꼬집었다. 비박 의원들 사이에선 “의원들의 총의를 물어 유 원내대표 거취를 결정하게 되면 직전 의총과 똑같은 결과가 나올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그렇게 되면 친박이 오히려 고립될 수 있다”는 말까지 나온다.

하지만 이런 주장은 수면 아래서만 떠돈다. 청와대와 친박의 노골적인 ‘유승민 찍어내기’에 불쾌감을 표출하면서도 한목소리를 내거나 집단행동에 나서는 건 부담스러워하는 기색이 짙다.

여기엔 ‘유 원내대표와는 함께 갈 수 없다’는 박근혜 대통령의 분명한 메시지가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대통령이 여당 원내사령탑을 찍어 분노에 가까운 불신을 드러냈는데, 괜히 나서 정면으로 각을 세웠다가는 정치적 타격을 입을 수 있다는 우려가 적지 않다. 수도권의 한 의원은 “대통령 탈당설에 의원들이 상당히 위축돼 있다”고 했다.

또 비박이 조직적으로 움직일 경우 사태를 더 악화시킬 수 있다는 판단도 깔려 있다. 권력투쟁이 전면전으로 번지면 여권 전체가 공멸할 수 있다는 것이다. 비박 재선 의원들은 당초 이날 저녁 모임을 추진했다가 29일 최고위원회 상황 등을 지켜본 뒤 회동하기로 했다.

일각에선 의원들의 재신임으로 유 원내대표가 스스로 거취를 정리할 명분은 생겼다는 의견도 나온다. 대통령 말 한마디에 여당 원내대표가 쫓겨나는 최악의 상황은 막았다는 것이다. 청와대가 유 원내대표를 빌미 삼아 당정청 채널을 올스톱하고, 야당이 국회 일정에 불참하면 현실적인 이유에서라도 “유 원내대표가 결자해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받을 수 있다. 권지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