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부권 정국 파장] 새정치 ‘갈등’ 일단 잠복… 적진 분열 속 ‘반사이익’?

입력 2015-06-29 02:54
국회법 개정안 거부권 행사 후폭풍에 새정치민주연합의 내홍은 일단 수면 아래로 가라앉는 모습이다. 당 지도부가 청와대와 여당을 상대로 전면전을 치르면서 내부 결속력이 강화되고 있지만 후속 당직 인선 과정에 따라 언제든 갈등이 다시 터져 나올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이종걸 원내대표는 28일 기자들과의 오찬에서 최고위원회의 복귀 여부에 대해 “비상근무가 끝나면 출근투쟁을 한다. 일단은 비상근무가 우선”이라고 말했다. 당내 갈등이 아니라 대여 투쟁이 우선이라는 설명이다.

이 원내대표는 당초 최재성 사무총장 인선 강행에 반발해 최고위원으로서의 당무를 거부했다. 하지만 지난 25일 박근혜 대통령이 국회법 개정안에 대해 거부권을 행사하자 태도가 바뀌었다. 이후 긴급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했고, 26일 최고위원·중진의원 연석회의에도 일단 나왔다. 이 원내대표 측은 “거부권 정국에서 당내 분쟁에 대해 신경을 쓸 겨를이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새정치연합의 계파 갈등도 ‘종전’이 아니라 ‘일시 휴전’인 상황이다. 추가 당직 인선이 갈등의 불씨로 남아 있다. 이에 따라 문재인 대표의 후속 당직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최 사무총장 인선 강행이 당내 갈등에 불을 지핀 만큼 후속 인선은 당내 비주류를 자극하지 않는 방향으로 신중하게 논의될 가능성이 크다. 이 원내대표는 “당직 인선은 문 대표가 알아서 하실 것”이라며 공을 넘긴 상태다. 수석사무부총장직을 고사하던 김관영 의원도 29일 예정된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하기로 했다. 급한 불은 끈 상태지만 총선이 1년도 채 남지 않은 상황에서 인선을 무작정 미룰 수도 없다는 얘기도 나온다.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