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시민 아이디어 묻히지 않도록 3D프린터로 제품화 추진… 전 국민 ‘메이커운동’ 검토

입력 2015-06-29 02:33
정부가 국민들의 아이디어를 3D 프린터를 이용해 쉽게 제품화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구상 중이다. 사람들의 머릿속에만 머물다 사라져가는 아이디어를 3D 프린터로 되살려 실제 상품화한다면 기존에 없던 새로운 제품이 출시되는 길이 열리게 돼 새로운 미래 성장 동력으로 삼을 수 있을 것이란 판단에서다.

28일 정부 관계자에 따르면 창조경제민관협의회는 조만간 간담회를 열고 ‘메이커 운동 활성화 방안’에 대해 논의할 계획이다. 메이커(Maker·상품을 만드는 사람) 운동이란 ‘전 국민이 상품 제작자가 되자’는 일종의 캠페인이다. 시민들이 스스로 구상한 제품이 있다면 생각에만 그치지 말고 직접 제작에 나설 수 있도록 분위기를 조성하자는 것이다. 창조경제민관협의회는 미래창조과학부·기획재정부 등 정부 부처와 전국경제인연합회를 비롯한 경제단체로 구성된 협의체다. 메이커 운동 아이디어는 미래부에서 처음 제안했다.

이 운동과 관련해 정부는 기존에 있는 3D 프린팅 업체를 적극 활용하는 방안을 구상하고 있다. 3D 프린터란 2D 프린터가 활자나 그림을 인쇄하듯 3차원 도면을 바탕으로 입체적인 물품을 만들어내는 기계다. 3D 프린터를 이용하면 자신이 구상한 상품의 시제품을 쉽게 제작할 수 있다. 정부는 각 지역에 흩어져 있는 3D 프린팅 업체 정보를 국민들에게 적극 홍보할 계획이다. 영세한 업체들끼리는 합쳐서 규모를 키우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

창조경제민관협의회는 이르면 이달 내 창조경제 활성화 방안을 논의하는 간담회를 열 예정이다. 당초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 주재로 지난 11일 간담회를 열 계획이었지만 메르스 사태 등으로 연기됐다. 3D 프린팅 업체를 활용한 메이커 운동에 대해 정부 관계자는 “창조경제 활성화 차원에서 나온 아이디어”라며 “정부 주도로 관련 사업을 추진하는 것은 될 수 있으면 지양하고 기존 인프라를 최대한 활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세종=이용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