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로 시한이 다가온 이란 핵협상이 막판 진통을 겪고 있다. 이란과 미국 등 서방 외무장관은 27일(현지시간) 오스트리아 빈에서 협상을 시작했지만 여전히 핵심 쟁점을 놓고 이견을 좁히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AP통신 등 외신들이 전했다.
존 케리 미 국무장관은 협상 전망에 대해 ‘희망적’이라면서도 “풀어야 할 난제가 많다”고 했고, 무함마드 자바드 자리프 이란 외무장관 역시 “협상을 진전시키기 위해선 정말 어려운 작업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양측은 이란 군사시설 사찰 허용, 이란 핵기술 연구·개발 10년 이상 제한, 대(對)이란 제재 해제 등 3가지 쟁점에서 입장차를 보이고 있다. 이란 정책의 최고 결정권자인 아야톨라 세예드 알리 하메네이 최고지도자는 협상 직전 3가지 쟁점에 대해 서방의 요구와 정반대인 ‘가이드라인’을 밝혔다.
이란 핵협상팀이 하메네이 최고지도자가 그은 선보다 더 양보할 가능성이 매우 낮은 만큼 협상 타결이 더욱 어렵게 됐다. 보수파가 장악한 이란 의회 역시 군사시설 사찰을 금지하는 법안을 최근 가결했다.
지난달 초 미 상원을 통과한 ‘이란 핵협상 의회승인’도 협상 타결에 걸림돌이다. 이 법안은 어떤 핵협상 합의안이라도 의회 승인을 받도록 하고 의회 검토기간을 30일로 정해 이 기간에 오바마 행정부가 대이란 경제제재를 해제할 수 없도록 했다. 이는 서방의 대이란 경제·금융제재가 협상 타결 발표와 동시에 해제돼야 한다는 이란 측 입장과 배치된다. 그러나 협상장 주변에선 결렬보다 이번에도 시한을 며칠 넘기거나 연장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워싱턴=배병우 특파원
bwbae@kmib.co.kr
양국 내부 반대에… 美·이란 핵협상, 막판 진통
입력 2015-06-29 02: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