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사자 1명이 장기를 기증하면 환자 6∼8명이 살아납니다. 장기기증자도 국가유공자처럼 우대해야 활발한 장기기증이 가능합니다.”
강치영(52·사진) 한국장기기증학회설립 준비위원장(한국장기기증협회장)은 25일 “장기 이식 관련 법률이 시행된 지 15년이 지났지만 한국의 생명나눔 수준은 여전히 제자리”라며 “의학·사회학·행정학 등 다양한 분야 전문가들이 협력해 장기기증을 활발히 할 수 있는 제도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선진국과 비교하면 한국의 장기기증자 숫자는 초라하다.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2012년 기준 미국 인구 100만명당 장기기증자는 25.6명이다. 반면 우리는 8.4명에 그친다.
강 위원장은 이날 창립식을 갖고 본격 활동에 들어간 한국장기기증학회가 낙후된 장기기증 문화를 바꿀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학회에는 장기기증 서약을 한 새누리당 정두언 의원을 포함해 52명의 관련 전문가가 참여했다. 의사뿐 아니라 법학자, 보건학자, 체육학자 등도 함께했다. 법·제도의 변화를 비롯해 장기기증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실질적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서다.
학회는 일상생활의 작은 제도부터 고쳐나갈 계획이다. 강 위원장은 “미국은 운전면허를 발급할 때 교통사망사고 시 장기기증 의사가 있는지 물어본다”며 “한국도 이런 절차가 가능하도록 청원운동을 하려고 한다”고 밝혔다. 장기기증자를 오래도록 기억하기 위한 기념공원 조성도 구상하고 있다.
그는 “지난해 600여명의 환자가 장기기증을 기다리다 아쉽게 사망했다”며 “생명을 나누는 서약자가 전 국민으로 확대될 때까지 장기기증 홍보 운동을 계속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세환 고승혁 기자 foryou@kmib.co.kr
[인터뷰] 장기기증협회 창립… 강치영 회장 “장기기증자도 국가유공자처럼 우대해야”
입력 2015-06-26 0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