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명 올림픽 메달리스트들의 비리가 끊이지 않고 있다. 뒷돈을 받고 부정 선수를 전국체전에 출전시키는가 하면 공금횡령에 승부조작까지 서슴지 않았다. 스포츠계 비리도 여러 종목으로 확산되는 양상이다. 공정과 규칙을 중요시하는 스포츠에 ‘레드카드’가 난무하는 꼴이다.
경찰청은 안병근·조인철 용인대 유도경기지도학과 교수 등 유도 관계자 40명을 불구속 입건했다고 24일 밝혔다. 안 교수는 2012∼14년 자신의 제자인 용인대 유도 선수 18명을 제주도 대표로 부정하게 출전시키고 그 대가로 제주도 체육회와 유도회로부터 1억1000만원을 받았다. 지난해 전국체전에선 특정 선수에게 고의로 패하도록 지시하기도 했다. 1984년 LA올림픽 금메달리스트로 수차례 국가대표팀 감독까지 지낸 그가 악질적인 ‘반칙’을 자행했다니 입이 다물어지지 않는다. 평소 성실하기로 유명했던 그였기에 더욱 경악스럽다.
2000년 시드니올림픽 은메달리스트이자 직전 국가대표팀 감독이었던 조 교수도 2012년 용인대 유도경기지도학과장으로 재임 중 단체 후원금, 선수 장학금 등 8000만원을 횡령한 사실이 적발됐다. 지난달에는 1998년 나가노동계올림픽 은메달리스트 출신 쇼트트랙 이모 코치가 선수들의 훈련비와 지원금을 가로챈 혐의로 불구속 입건됐다.
메달리스트 출신들의 잇따른 적발은 지난해부터 문화체육관광부와 경찰이 상시 합동으로 벌여온 ‘스포츠 4대악’ 수사에 따른 것이다. 지금까지 연루된 종목을 보면 유도 태권도 쇼트트랙 레슬링 스키 씨름 등이다. 정정당당한 승부를 숭고한 가치로 삼는 스포츠를 비리로 얼룩지게 해선 안 된다. 솜방망이 처벌에서 벗어나 관련자들을 중벌로 다스려야 함은 물론 보다 강력한 근절 대책이 나와야 한다. 각계 전문가들로 전담 기구를 구성해 불공정 행위를 사전에 차단하는 것도 한 방안이다.
[사설] 올림픽 메달리스트들의 비리 중벌로 다스려야
입력 2015-06-25 0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