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사태 때 대통령 어디에서도 보이지 않았다”… 안철수, 직격탄 날리며 대정부 질문 데뷔

입력 2015-06-24 02:09
국회의 23일 교육·사회·문화 분야 대정부 질문에서 여야 의원들은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사태와 관련한 정부의 실책을 한목소리로 질타하면서 책임 규명과 대응 시스템 개선을 촉구했다.

국회 입성 이후 처음 대정부 질문에 나선 새정치민주연합 안철수 의원은 “메르스와 싸우기 시작한 지 벌써 34일째”라며 “그동안 국가가 있었느냐”고 거세게 비판했다. 안 의원은 “세월호 참사와 메르스 사태를 겪으면서 국가에 대한 신뢰가 연이어 무너졌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 “국민이 전쟁 상황에서 애타게 사령관을 찾을 때 국가원수이면서 행정부 수반인 대통령은 어디에서도 보이지 않았다”면서 박근혜 대통령을 향해 직격탄을 날렸다.

특히 안 의원은 감염병 관리 기본 원칙을 지키지 못한 점과 늑장 대응 등 정부의 안이한 대처를 지적하면서 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에게 “사퇴할 의향이 있느냐”고 추궁했다. 이에 문 장관은 “어떤 이유로라도 책임을 회피할 생각은 없다”면서 “다만 지금 해야 할 일은 최선을 다해 메르스 사태를 조속히 마무리짓는 것”이라고 답했다. 안 의원은 “사망자나 환자 가족을 볼 면목이 있느냐”면서 문 장관을 몰아붙였다.

문 장관은 메르스 사태 초기 발생 병원 등에 대한 비공개 결정을 누가 했느냐는 새정치연합 남인순 의원의 질문에 “병원 상황에 따라 전문가 등이 검토해 판단했고 제가 수용했다”고 답변했다. 그러면서 병원에서 의심환자 진료를 거부할 수 있는 문제 때문이었다고 해명했다.

문 장관은 “메르스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갖지 못했기에 세계보건기구(WHO)의 단순한 매뉴얼에 맞춰 조치했다”며 “조기에 빨리 안정시키지 못한 점에 대해 송구스럽게 생각한다”고 사과했다. 또 “한국에서 예외적으로 메르스 전파력이 컸던 것은 병원쇼핑 문화, 밀집되고 혼잡한 응급실, 간병문화가 제대로 통제 안 된 점 등이 원인”이라고 말했다.

여당 의원들도 문책론을 강하게 제기했다. 새누리당 이채익 의원은 “정부 대응은 선제적이지 못하고 감염자 발생을 뒤쫓는 등 총체적 부실을 드러냈다”고 지적했다. 같은 당 경대수 의원도 “오죽하면 박원순 서울시장이 심야에 긴급 브리핑을 했을까”라며 “이 부분에 대해선 주무부처도 책임을 느껴야 한다”고 질책했다.

한편 황교안 국무총리는 ‘성완종 리스트’에 없던 새정치연합 김한길 전 공동대표에 대한 검찰 수사를 야당이 ‘물타기식 수사’라고 반발한 것과 관련, “수사를 특정인이 제시하는 범위에 국한해 하는 것은 원칙이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이어 “의심이 있거나 자료가 나오면 그 부분에 관해서는 수사를 다해 나가는 게 원칙”이라고 했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