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그룹이 서울 강남구 삼성동 옛 한국전력 부지에 115층 빌딩을 짓는 건축계획안을 공식 제안함에 따라 서울시와 현대차그룹 간 사전협상이 본격 시작됐다. 현대차그룹은 해당 부지를 일반상업지역으로 변경하는 조건으로 공공기여금 1조7030억원을 내겠다고 제안했다.
서울시는 현대차그룹의 ‘한전부지 개발구상 및 사전협상 제안서’가 제출됨에 따라 23일 양측 협상단 모임을 갖고 사전협상 진행방안에 대해 논의했다고 밝혔다.
현대차그룹은 앞서 지난 11일 한전부지의 도시계획을 제3종일반주거지역에서 일반상업지역으로 변경해 통합사옥과 전시·컨벤션센터, 공연장, 숙박시설, 판매시설, 업무시설, 전망대 등을 짓는 내용의 최종 제안서를 시에 제출했다.
제안서에 따르면 현대차그룹은 한전부지에 건폐율 38.42%, 용적률 799.13%를 적용해 연면적 96만1798㎡ 지상 62·115층, 지하 7층 규모의 건물을 지을 계획이다. 잠실에 짓고 있는 롯데월드타워(123층, 최고높이 555m)에 비해 층수는 8층 낮지만 높이는 16m 높은 국내 최고층 건물이 된다. 115층 건물은 그룹 통합사옥으로, 62층 건물은 업무시설·호텔·전시컨벤션센터·공연장·판매시설 등으로 활용하겠다는 것이다. 용도지역 변경에 따른 공공기여율은 36.75%를 적용해 1조7030억원을 제안했다.
현대차그룹은 한전부지 개발로 건설 중 11조6000억원, 20년간 운영으로 251조원 등 총 262조6000억원의 생산유발효과와 132만4000명(건설 중 7만4000명, 20년간 운영 125만명)의 고용창출효과가 있을 것으로 분석했다.
현대차그룹의 계획안은 강남구를 포함한 유관 부서·기관과의 협의, 도시계획 및 건축 관련 위원회의 자문, 양측 협상단과 외부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협상조정협의회 논의 등을 통해 조정될 예정이다.
시는 이르면 7월 중 협상조정협의회를 가동, 감정평가 시행 및 공공기여 총량 확정 등을 거쳐 연내 사전협상을 마무리한다는 계획이다. 절차가 예정대로 진행된다면 내년 중 도시관리계획(지구단위계획) 결정과 건축 인·허가를 거쳐 내년 말이나 2017년 초 착공에 들어갈 전망이다. 시는 한전부지 개발이 조속히 이뤄지면 주변의 민간·공공의 사업 추진도 촉진될 것으로 기대했다.
이제원 시 도시재생본부장은 “대규모 일자리 창출과 경제 활성화를 위해 사전협상을 비롯한 행정절차를 최대한 효율적으로 진행하는 등 현대차그룹과 적극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라동철 선임기자 rdchul@kmib.co.kr
한전부지 개발 공공기여 1조7030억 제안… 서울시·현대차그룹 사전협상
입력 2015-06-24 0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