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행이 다섯 번째 민영화 길에 오른다. 공적자금관리위원회는 다음 달 새로운 민영화 방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우리은행 내외부에서는 ‘분할매각’ 방식이 유력하게 떠오르고 있지만 공적자금을 가능한 많이 회수하길 원하는 정부로선 일괄매각 방식을 포기할 수 없다.
지난해 말 취임한 이광구 우리은행장은 취임일성으로 ‘임기 내 민영화 달성’을 세웠다. 성공적 민영화를 위해 기업 가치를 제고하겠다며 영업력 확대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공격적 영업을 통해 대기업 퇴직연금을 유치하고, 예금과 대출 잔액도 크게 늘렸다. 한편으로 매수 가능성이 있는 곳과 접촉하고 있다.
우리은행 내부에서는 분할매각만이 유일하게 남은 방법이라는 목소리에 힘이 실리고 있다. 분할매각은 지분을 쪼개 과점주주에게 매각하는 방식이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정부가 정하는 방법을 따라야 하기 때문에 기다리고 있다”면서도 “시장에 인수할 대상이 없기 때문에 결국 분할매각으로 가지 않겠나 생각한다”고 말했다.
실제 시장에는 우리은행을 살 만한 곳이 없다. 저금리 등으로 은행은 인수 여력이 없다. 지난 4차 매각 당시 교보생명 등의 이름이 오르내렸으나 은행이 기업의 ‘사금고’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론스타 사태를 겪은 뒤라 해외 자본에 대한 시선도 곱지 않다.
정부는 우리은행 매각을 위해 몸집을 최대한 줄였다. 지난해 우리투자증권 등 계열사를 분리매각하고 지주를 해체했다. 이후 우리은행 경영권 지분과 소수지분을 따로 매각하는 투트랙 방식을 도입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영권 지분 매각에 참여한 곳은 중국 안방보험 한 곳에 불과했다. 유효경쟁이 성립하지 않아 결국 또 매각은 무산됐다.
민영화가 지연될수록 은행 가치가 떨어질 수 있어 서둘러야 한다는 우려도 나온다. 현재 예금보험공사가 우리은행 지분 51.04%를 가지고 있다. 우리은행은 예보와 맺은 경영정상화 이행약정(MOU)에 따라 임금인상, 신사업 추진 등을 할 때 감사를 받는다. 우리은행 고위 관계자는 “시어머니가 많아 혹여 감사에 걸릴까 직원들이 몸을 사려 공무원화되고 있다”고 토로했다. 기업 가치 제고에 MOU가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것이다.
정부는 분할매각 카드를 쉽게 꺼내들지 못하고 있다. 매각이 무산될 때마다 정부를 비판하는 목소리가 크지만 공적자금 최대 회수란 원칙과 배치되기 때문이다. 원금 회수를 위해선 주당 1만4800원 수준에서 매각이 이뤄져야 하는데 현재 주가는 1만원을 밑돌고 있다. 정부는 일괄매각을 통해 경영권 프리미엄이라도 받아야 계산이 맞을 것으로 보고 있다.
박은애 기자 limitless@kmib.co.kr
[이슈분석] 우리銀, 하반기 민영화 ‘5修’ 나선다… 내달 새 방안 발표 예정
입력 2015-06-23 0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