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22일 서울과 도쿄에서 각각 열린 국교 정상화 50주년 기념 리셉션에 참석해 축하 메시지를 주고받았다. 박 대통령은 “과거사의 무거운 짐을 내려놓고 올해는 양국이 새로운 미래를 만들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아베 총리도 “앞으로 50년을 내다보며 함께 손잡고 양국간 새로운 시대를 만들어 가자”고 밝혔다. 두 정상이 모두 양국 관계의 미래를 강조했다.
최근 관계를 감안한다면 양국 정상의 기념식 교차 참석은 새로운 한·일 관계를 위한 전기를 일단 마련했다고 평가된다. 그렇다고 양국 관계가 바로 정상화된다고 속단하긴 이르다. 해결해야 할 현안들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게다가 양국 관계 파탄은 무엇보다 일본의 보수 우경화에 따른 아베 정권의 역사 수정주의에 기인한다. 본질적인 문제가 해소되지 않는 한 관계 정상화는 좀 더 시일이 걸릴지도 모른다. 물론 중국의 부상, 한·일 간 격차 축소, 양국의 세대교체와 포퓰리즘 등 다양한 이유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도 했다.
경색된 양국 관계는 양쪽 어느 편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 이견이 있는 현안은 현안대로 논의하되 새로운 50년을 만들 수 있는 미래지향적 관계를 구축해야 한다. 이것이 두 나라 각자의 국익과 동북아 지역에서의 공동 이익에 부합된다. 이번에 양국 외교장관회담에서 ‘일본 산업혁명 시설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에 대해 이견을 좁혔듯이 한 가지씩 접점을 찾아나간다면 한·일 관계는 충분히 미래지향적으로 나아갈 수 있다. 특히 경제·안보 문제에 있어서는 양국의 협력이 상당히 절실한 때이기도 하다.
그러기 위해서 아베 총리는 오는 8월에 예정된 자신의 담화 내용에 과거사 문제의 핵심인 일본군 위안부 문제 등에 대해 전향적인 내용을 담아야 한다. 이것 없이는 의미 있는 진전이 이뤄지기 쉽지 않다. 더불어 한국 내에서도 무조건적인 반일 감정이나 배타적 민족주의를 내세우는 일들이 없어야 하겠다. 그래서 가해자의 반성과 피해자의 관용이 미래지향적 양국 관계로 선순환을 일으키는 동력이 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양국은 현안 해결을 위해 보다 열린 자세로 이견을 좁히는 외교 협상을 벌여 정상회담까지 만들어내기 바란다.
[관련기사 보기]
[사설] 한·일수교 50주년, 이젠 과거를 넘어 미래로 가자
입력 2015-06-23 00:29 수정 2015-06-23 0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