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정부의 두 번째 법무부 장관으로 21일 내정된 김현웅(56) 서울고검장은 “장관으로 임명된다면 법과 원칙을 지켜내고 사회통합을 이루는 데 혼신의 힘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현역 고검장이 법무부 장관에 지명되기는 김영삼정부 때인 1997년 김종구 당시 서울고검장 이후 18년 만이다. 사법연수원 16기인 김 내정자가 인사청문회를 통과해 장관에 앉으면 연수원 2년 선배인 김진태 검찰총장을 법률상으로 지휘하는 ‘기수·지휘 역전’이 이뤄진다. 서열과 상명하복을 중시하는 검찰에서 검찰총장의 후배이자 휘하 고검장이 장관으로 직행하는 것은 흔치 않은 일이다. 이명박정부 때 ‘이귀남 장관(12기)-김준규 총장(11기)’ 사례가 있었지만 이 전 장관은 공직 퇴임 이후 장관에 지명됐다.
김 내정자는 판사 출신인 고(故) 김수 전 공화당 의원의 차남이다. 김 전 의원은 1979년 제10대 총선에서 전남 고흥·보성에 무소속으로 출마해 당선된 뒤 박정희 전 대통령이 이끌던 공화당에 입당했다. 박근혜 대통령과 대를 이은 인연이 있는 셈이다.
그는 2013년 12월부터 1년2개월간 법무차관으로 재직하면서 황교안 당시 장관을 보좌한 경험도 있다. 황 장관과 마찬가지로 기독법조인 모임인 ‘애중회’ 회원으로도 알려졌다. 검찰 한 간부는 “1년 이상 장관, 차관으로 일했다는 건 두 사람 호흡이 잘 맞는다는 뜻”이라고 했다. 두 사람은 내각을 책임지는 국무총리와 법무·검찰의 수장으로서 박근혜정부 후반기의 부패사정 작업을 이끌 것으로 전망된다.
김 내정자는 침착하고 합리적 성품에 업무 방식이 치밀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특수수사·기획·법무행정 요직을 두루 거쳤다. 광주지검 특수부장 때인 2001년 김대중정부가 추진하던 교육정보화사업 비리를 수사해 정영진 전남도교육감을 구속했다. 2006년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장 때에는 법조 비리를 수사해 서울고법 부장판사, 검사, 경찰 총경 등을 잇달아 구속했다. 재산은 5억2200만원(3월 공개된 고위공직자 재산 내역)을 신고해 법무부 간부 중 가장 적다.
호남 출신 인사 법무부 장관 내정은 대통령의 통합·화합 메시지로 풀이된다. 여기에 장관 후보군에 들었던 검찰 출신 인사들이 대형 로펌 근무 경력 등으로 인사청문회에서 다시 ‘전관예우’ 논란이 벌어질까 우려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여권 관계자는 “인사청문회 통과 가능성, 호남 배려 등 여러 의미가 담겨 있을 것”이라고 해석했다.
박 대통령이 호남 출신 장관을 지명한 것은 방하남 고용노동부(전남 완도), 진영 보건복지부(전북 고창), 김관진 국방부(전북 전주), 이기권 고용노동부(전남 함평) 장관에 이어 다섯 번째다.
△전남 고흥 △광주제일고, 서울대 법학과 △사법시험 26회(사법연수원 16기) △서울중앙지검 특수부장 △춘천·서울서부·광주지검장 △부산·서울고검장
지호일 남혁상 기자
blue51@kmib.co.kr
김현웅 법무장관 내정자는… 호남 출신·기수 역전 탕평에 무게
입력 2015-06-22 02: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