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총생산(GDP) 규모가 2000억 달러에 이르는 중미 6개국과의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이 본격화됐다.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18일(현지시간) 미국 휴스턴에서 개최된 중미 6개국과의 통상장관회담에서 한·중미 FTA 협상 개시를 공식 선언했다. FTA 협상 대상인 중미 6개국은 과테말라, 엘살바도르, 온두라스, 니카라과, 코스타리카, 파나마다. 이들 국가는 1960년 결성된 중미경제통합기구(SIECA)로 묶여 있어 경제적 통합 수준이 높을 뿐 아니라 북미와 남미를 잇는 지정학적 요충지로서 주목받는 지역이다. 중미 6개국은 이미 미국, 유럽연합(EU), 멕시코, 칠레 등과 FTA를 체결했다. 한국과 FTA가 성사되면 아시아 국가와는 최초의 FTA가 된다. 정부는 FTA 성사 시 한·중미 간 교역과 투자가 증대되는 것은 물론 미주와 유럽으로의 진출을 더욱 활성화할 교두보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6개국의 국내총생산(GDP)은 지난해 현재 2098억 달러로 중남미 전체의 3.7%를 차지하며 칠레(2641억 달러) 페루(2081억 달러)와 비슷한 수준이다. FTA 성사 시 승용차·자동차부품·전자기기 수출이 늘어나고, 커피·파인애플·의류 등의 수입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조민영 기자
韓·中美 FTA협상 개시… 성사땐 亞 최초
입력 2015-06-20 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