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교안 국무총리가 19일 김우주 대한감염학회 이사장을 총리특별보좌역으로 임명한 것은 메르스에 대처하기 위해 전문성을 강화했다는 점에서 잘한 일이다. 메르스 퇴치 최선봉에 서겠다고 한 전날의 다짐과 맥을 같이하는 것이다. 그는 국회 대정부 질문 답변에서도 메르스 극복이 국정의 최우선 과제임을 강조했다. 황 총리의 이틀간 행보는 적극성과 안정감을 겸비했다는 측면에서 정부 리더십 부재에 따른 그간의 국민 불안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감을 갖게 한다.
대정부 질문에서 새정치민주연합 의원들이 황 총리에게 집중포화를 가할 것이란 당초 예상과 달리 메르스 사태 등과 관련한 정책 질의에 치중한 것은 평가할 만하다. 끝까지 임명을 반대했던 야당 지도부가 황 총리 예방을 받고 정부와 정치권의 협력을 다짐한 것도 마찬가지다. 국가위기 극복에는 여야가 한순간도 딴 생각을 가져서는 안 된다. 방역과 치료는 당연히 정부 몫이지만 의료진과 환자를 격려하고 국민의 협조를 이끌어내는 데는 정치권의 전폭적인 협력이 필요하다. 국론이 통일되지 않고는 결코 위기를 조기에 극복할 수 없다는 건 기나긴 우리 역사가 증명한다.
대정부 질문은 24일까지 이어진다. 메르스 퇴치 컨트롤타워를 자임한 황 총리를 그때까지 국회에 잡아두는 것이 적절한지 의문이다. 금방 취임한 그를 향해 정부의 부실 대응을 질타하는 것은 사실 큰 의미가 없다. 그런 점에서 여야 의원들은 지금까지 드러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는 데 집중해야겠다. 보건복지부 장관 등 메르스 관련 부처 장관들에게도 마찬가지다. 정부도 야당을 자극하는 행위는 가급적 삼가는 게 좋겠다. 현 상황에서 검찰이 박원순 서울시장을 수사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 누구에게도 도움이 안 된다.
[사설] ‘메르스 퇴치 선봉장’ 황 총리에게 힘 실어줄 때
입력 2015-06-20 0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