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틈타 서울 대중요금 인상 강행… 지하철 200원·버스 150원

입력 2015-06-19 02:46
서울 지하철과 버스 등 대중교통 요금이 오는 27일부터 오른다.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사태로 어수선한 틈을 타 제대로 된 의견수렴 절차를 거치지 않고 요금 인상을 강행해 논란이 일고 있다. 박원순 시장의 핵심 철학인 ‘소통’과 거리가 멀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게 됐다.

서울시는 18일 물가대책심의위원회를 열어 지하철은 200원, 버스는 150원 올리는 대중교통 요금조정안을 최종 확정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27일 첫차부터 성인 기준으로 지하철 기본요금은 1050원에서 1250원으로, 간·지선버스는 1050원에서 1200원으로 인상된다. 심야버스 요금은 1850원에서 2150원으로, 광역버스 요금은 1850원에서 2300원으로 오른다.

마을버스 요금은 150원 오른 900원으로 결정됐다. 어린이와 청소년 요금은 동결된다.

또 오전 6시30분 이전 교통카드를 이용해 탑승하면 기본요금을 20% 할인해주는 조조할인제가 처음으로 도입된다. 영주권을 가진 65세 이상 외국인에게도 내국인처럼 무임승차가 적용된다.

서울의 대중교통 요금 인상은 2012년 2월 버스·지하철 기본요금 150원 인상 이후 3년 4개월만이다.

그러나 공청회 등 시민의견 수렴 절차를 거치지 않아 논란이 일고 있다. 서울시는 지난 10일 공청회를 개최하려고 했으나 무산됐고, 지난 12일에는 물가대책심의위원회에서 요금인상안 보류 결정이 내리지기도 했다. 그런데도 서울시는 6일 만에 물가대책심의위를 다시 열어 요금 인상안을 처리했다.

시는 경기도·인천시·코레일과 요금 인상을 사전 합의했기 때문이라는 궁색한 변명을 내놨다.

김경호 서울시 교통본부장은 “메르스로 어려운 시기에 요금을 올리게 돼 시민들께 송구스럽다”며 “일부 시민단체에서 요금조정 과정에 시민의견을 듣는 노력이 부족했다고 지적한 것을 겸허히 받아들인다”고 말했다.

박 시장도 대중교통 요금조정안의 강행처리를 질책한 것으로 알려졌다. 시의회도 뒤늦게 대중교통요금 조정에 앞서 공청회 등 시민 의견 수렴절차를 의무화하는 내용의 조례 개정안을 입법예고했다.

김재중 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