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더미 과제 떠안은 黃총리… ‘메르스 수습 첫 시험대’ 경제·민생·가뭄 첩첩산중

입력 2015-06-19 02:28
황교안 신임 국무총리(가운데)가 18일 총리 임명장을 받은 뒤 메르스 대응 상황을 점검하기 위해 서울 중구 국립중앙의료원을 방문, 의료진과 대화를 나누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52일간의 공백 끝에 취임한 황교안 총리 앞에는 산적한 현안들이 놓여 있다.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는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확산세는 국민을 불안에 떨게 하고 있다. 성완종 리스트로 낙마한 이완구 전 총리의 뒤를 이어 ‘부패와의 전쟁’을 완수하는 것도 황 총리 몫이다.

세월호·메르스 사태로 직격탄을 맞아 주저앉은 서민경제와 장기화된 가뭄 피해 등을 해소하기 위한 민생 행보도 절실하다. 현 정부가 ‘책임 총리’를 내세운 만큼 여러 국정 현안에 대해 다각도로 존재감을 과시할 전망이다.

가장 시급한 당면 과제는 메르스다. 지난달 20일 첫 확진 환자가 나왔던 메르스는 한 달여 만에 사망자 23명, 확진자 165명을 기록하며 국정에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 사스와 신종플루 등 과거 감염병 발생 시에는 총리가 나서서 컨트롤타워 역할을 했지만 이번엔 공백 사태가 길어지며 기민한 대응에 실패했다.

보건복지부의 잇단 오판은 정부의 늑장 대응을 불렀다. 오랜 공백 끝에 취임한 황 총리로서는 무엇보다 메르스 관리에 ‘올인’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총리실 고위 관계자는 18일 “경제 활성화를 비롯한 다른 어떤 과제도 메르스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선 이룰 수 없다”며 “총리 공백 기간 중 여러 시나리오에 대비해 대응 체제를 구축하며 만반의 준비를 해 왔다”고 말했다.

이 전 총리가 취임 첫 국정과제로 내세웠던 부패 척결 및 공직기강 확립 문제도 속도전에 돌입할 예정이다. 법무부 장관으로서 이를 지휘했던 황 총리로선 ‘본업’이나 다름없기 때문이다. 성완종 리스트 파문으로 주춤했던 검찰 수사부터 다시 활기를 띨 전망이다. 현재 합동수사단이 꾸려진 방위사업은 물론 포스코 등 대기업과 자원외교 비리 수사를 중심으로 대대적인 사정 작업이 이뤄질 예정이다.

지난 4월 중앙 행정부처 공무원들의 근무실태 조사에 착수하며 신호탄을 쏘아올렸던 총리실의 공직기강 확립 업무도 강도 높게 펼쳐질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경제 활성화를 위해서는 국민 신뢰를 회복하는 게 시급하다고 보고 공직기강 확립을 중점 과제로 설정했었다.

민생도 살펴야 한다. 대내외적 악재 속에 서민경제는 헤아릴 수 없는 늪에 빠져들고 있다. 메르스 사태로 번화가와 다중이용시설엔 인적이 끊긴 지 오래됐다. 최근 국내 관광산업의 ‘큰손’으로 군림해 온 유커(游客·중국인 관광객) 등 외국인 관광객의 발길이 끊기면서 관광 관련 업종은 폐업 직전으로 내몰리고 있다. 대규모 모임이나 회식이 사라지면서 식당업계가 어려움을 겪는 등 영세 자영업자들도 힘겨운 시간을 보내고 있다.

극심한 가뭄은 가뜩이나 어려운 농민과 서민 가계부를 휘청거리게 하고 있다. 수도권과 강원도의 올해 누적 강수량은 평년의 절반 수준이다. 최악인 작황으로 농민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고공행진을 하는 채소 가격에 서민 식탁물가에도 부담을 주고 있다. 당장 19일부터는 국회의 대정부 질문도 예정돼 있어 국정 파악에도 소홀히 할 수 없다. 총리실 관계자는 “메르스와는 별도로 가뭄으로 고통받는 농가 등 민생 현장 방문 계획도 수립돼 있다”며 “법무부 장관을 역임한 황 총리가 국정 철학을 잘 이해하는 만큼 책임 총리로서 다양한 국정 현안을 직접 챙기고 해결 방안을 찾을 것”이라고 말했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