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재난] WHO “한국, 국제적 비상사태 아니다”

입력 2015-06-18 02:16

세계보건기구(WHO)는 17일(현지시간) 한국의 메르스 확산 사태는 전염병이 언제든 치명적으로 퍼질 수 있음을 보여주지만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에는 해당하지 않으며 한국에 대한 여행 및 교역 금지를 권고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WHO는 이날 스위스 제네바 본부에서 긴급위원회 회의를 개최한 뒤 발표한 성명에서 “한국의 메르스는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Public health emergency of international concern)를 선포하기 위한 조건을 갖추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또 “한국 사례를 조사한 결과 중동의 메르스 바이러스 변종은 없었으며 아직 ‘지역사회 감염’이라고 볼 만한 증거도 발견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위원회는 만장일치로 이 같은 결정을 내렸다.

WHO는 한국이 중국 등에 메르스 감염 의심 환자 정보를 빠르게 전달해 해당국에서 이들 여행객들을 통제할 수 있었던 점을 거론하면서 “칭찬받을 만한 일”이라고 평가했다.

WHO는 다만 “한국에서의 감염 확산은 이동이 활발한 현대사회에서 모든 국가가 예기치 않은 전염병 발발에 준비돼 있어야 한다는 점을 보여주는 일종의 경고음”이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한국에서 메르스가 확산된 주요 원인으로 의료종사자와 일반시민의 메르스에 대한 인식 부족, 병원에서의 전염 예방조치 미흡, 붐비는 응급실과 다인용 입원실, 여러 병원을 다니며 치료를 시도하는 행위(일명 ‘닥터 쇼핑’), 한국의 가족 문병 문화 등 5가지를 꼽았다.

WHO는 지난해 8월 8일 서아프리카의 에볼라 바이러스 확산에 대해선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선포한 바 있다.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가 선포되려면 질병이 국제적으로 퍼져서 다른 국가의 공중보건에 위협이 돼야 한다.

손병호 기자 bhson@kmib.co.kr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