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정부가 한·일 관계 정상화 수순에 돌입했다. 오는 22일 양국 수교 50주년 기념식을 계기로 윤병세 외교부 장관이 일본을 방문, 2년여 만에 처음으로 한·일 외교장관회담을 갖는다. 일본 측은 누카가 후쿠시로(額賀福志郞) 일한의원연맹 회장이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 특사 자격으로 방한해 박근혜 대통령을 예방할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부는 윤 장관이 21∼22일 방일해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외무상과 회담을 갖고, 도쿄 주재 우리 대사관이 주최하는 ‘한·일 국교 정상화 50주년 기념 리셉션’에 참석할 예정이라고 외교부가 17일 밝혔다. 우리 외교 수장의 방일은 2011년 5월 이명박 당시 대통령의 후쿠시마 한·중·일 정상회의를 수행했던 김성환 전 장관 이후 4년여 만이다.
한·일 외교장관회담은 사실상 박근혜 대통령과 아베 총리 간 정상회담을 사전 조율하는 전초전 성격이라는 게 외교 전문가들의 평가다. 이를 반영하듯 윤 장관은 이번 방일에서 아베 총리를 직접 만나는 일정도 조율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전격적인 윤 장관의 도쿄 방문이 박근혜정부의 대일(對日) 원칙주의 외교노선 수정 신호탄으로도 해석된다. 그동안 박 대통령은 아베 정부가 과거사 왜곡 행보를 계속하자 ‘과거사 문제 해결 없이 한·일 관계 정상화는 없다’는 원칙을 정했고, 외교 당국도 과거사와 다른 사안을 분리하는 ‘투 트랙’ 기조를 유지해 왔다. 그러나 앞으로는 이런 기조가 ‘관계 정상화를 통한 과거사 압박’이라는 ‘원 트랙’으로 갈 것이란 전망이 제기된다.
한·일은 양국 주재 대사관이 주최하는 수교 50주년 기념 리셉션에 각각 각료급을 보내기로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 주재 일본대사관 주최 행사에는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정부 대표로 참석해 박 대통령의 축하 메시지를 대신 낭독할 것으로 전해졌다. 일본은 도쿄 주재 우리 대사관 주최 행사에 기시다 외무상과 아치 쇼타로(谷內正太郞) 국가안전보장국장 등이 참석해 아베 총리의 축하문을 대독할 것으로 알려졌다.
양국 외교장관회담에서는 위안부 문제를 비롯해 일본의 근대산업시설 세계유산 등재 추진 등 다양한 현안이 한꺼번에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이 자리에서 양국 관계의 가장 큰 걸림돌인 위안부 문제 해결 돌파구가 마련될 경우 정상회담까지 가시권에 들어올 가능성이 다분하다. 만약 윤 장관의 방일이 가시적 효과를 거두지 못한다 해도 양국 관계 개선에 동력을 불어넣을 것이라는 기대도 나온다.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
[뉴스 분석] 위안부 해법 도출 땐 韓·日 정상회담 급류
입력 2015-06-18 0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