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윤 장관 방일, 한·일관계 개선 전기됐으면

입력 2015-06-18 00:30
윤병세 외교부 장관이 한·일 국교 정상화 50주년과 관련해 오는 21∼22일 일본을 방문, 외교장관회담을 갖고 도쿄 주재 우리 대사관이 주최하는 기념 리셉션에 참석한다. 한국과 일본은 서울과 도쿄에서 열리는 리셉션에서 양국 정상이 보내는 축하 메시지를 각료급 인사들이 대독키로 했다. 윤 장관의 방일과 양국 정상의 축하 메시지는 관계 개선에 대한 의지의 표현으로 실질적인 성과로 이어질지 주목된다.

한·일 양국은 일본군위안부나 과거사 왜곡, 독도 영유권 문제 등 몇몇 현안에 대해 뚜렷한 이견을 갖고 있다. 최근에는 서로 국민감정까지 악화된 상태다. 바람직하지 않은 구도다. 한·일 관계를 냉각시키는 현안은 현안대로 풀어가면서 안보나 경제 등 협력이 필요한 사안들은 별도로 진행시켜야 한다. 그런 미래지향적 관계가 한·일 두 나라의 이익은 물론 동북아의 공동 이익에도 부합할 수 있다.

따라서 두 나라는 과거사 등 이견을 보이는 부분과 미래지향적인 현안을 분리하는 투 트랙으로 가야 한다. 양국이 협력해야 할 부분은 안보와 경제는 물론이고 민간 부문에서도 수없이 많다. 이런 것들이 제대로 진행되지 않으면 글로벌 시대에 대처할 수 없게 된다. 우리 입장에서도 한·미·일을 잇는 안보 구도와 한·중·일을 아우르는 경제 구도를 감안한다면 작금의 한·일 관계는 비정상적인 모습들 뿐이다. 특히 미·일이 안보 측면에서 신밀월 관계로 진입하고 있고, 경제적 측면에서는 한·일의 냉각이 일본보다는 우리에게 더 큰 타격을 줄 수 있어 적절한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기도 하다.

왜곡된 과거사를 외면해서는 안 되지만 대일 외교를 감정적 대립으로 확산시킬 필요는 더더욱 없다. 외교는 도덕이 아니다. 품격을 잃지 않는 범위 안에서 실리의 극대화를 취하는 게 외교다. 정부가 수교 50주년을 계기로 한·일 관계를 슬기롭게 풀어나가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