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주시민들, 옛 미군기지 ‘캠프롱’ 조기 반환 운동

입력 2015-06-17 02:03
강원도 원주시민들이 옛 미군기지인 캠프롱 조기반환 운동에 나섰다.

원주시 태장2동 7개 시민단체는 16일 ‘캠프롱 조기반환 추진을 위한 주민대책위원회’를 구성했다. 위원회는 주민자치위원회와 통장협의회, 바르게살기위원회, 새마을지도자협의회, 새마을부녀회, 자율방범대, 체육회 등이 참여했다.

이들 단체는 이날 태장2동주민센터에서 첫 회의를 열어 대책위원장에 신상운 통장협의회장을 선임하고, 앞으로 현수막 설치, 조기반환 기자회견, 서명운동, 관계부처 방문 등을 추진키로 했다.

대책위 관계자는 “태장동은 지난 60년간 캠프롱으로 인해 지역 발전에 많은 제약을 받아왔다”면서 “시민들과 힘을 모아 조속한 반환을 이끌어 내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1951년 조성된 캠프롱은 미군이 주둔해 오다 2010년 6월 폐쇄됐다. 이에 시는 부지가 반환되면 34만4332㎡ 부지에 413억원을 들여 문화체육공원을 조성키로 했다.

시는 2013년 6월 국방부와 캠프롱 부지에 대한 토지매입계약을 했으며 매입비 694억원 가운데 515억원을 납부했다. 나머지는 내년 6월 납부할 예정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부지 반환 시기는 물론 토양오염 복원 시기도 결정되지 않아 사업이 차질을 빚고 있다.

정부와 미국 측이 토양오염 정화사업에 대한 예산부담 문제를 놓고 이견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는 정화사업 비용을 미국 측에서 부담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반면 미국 측은 한·미주둔군지위협정(SOFA) 규정을 근거로 비용 부담을 꺼리고 있는 실정이다. 캠프롱은 전체 부지의 약 8%가 기름 유출 등으로 오염된 것으로 분석, 최대 100억원의 정화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그동안 시는 7차례에 걸쳐 국방부와 환경부 등 관련 부처를 방문해 조기반환을 건의하고, 시의회에서는 지난달 조기반환 촉구 결의안을 채택해 정부에 전달했지만 여전히 답보상태다.

원창묵 원주시장은 “반환 방침이 수립된 지 5년이 지났고 부지 매입도 거의 완납한 상황에서도 부지반환은 요원한 상태”라며 “지역 각계가 힘을 합쳐 부지 적기 반환을 통해 지역 발전 전기를 마련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원주=서승진 기자 sjse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