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이 본격 확산되면서 외식업계 매출이 40% 가까이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체험마을 등 관광상품도 대부분 취소되는 등 메르스 충격파가 이어지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16일 메르스가 본격 확산된 지난 8∼14일 국내 외식업체들의 평균 매출액이 2주 전에 비해 38.5% 감소했다고 밝혔다. 한국외식산업연구원이 560개 외식업체를 조사한 결과다.
특히 피자 햄버거 치킨 등 포장이나 배달이 가능한 패스트푸드 분야(29.1%)를 제외한 나머지 업종의 매출 감소율은 평균을 훨씬 웃돌았다. 주말 저녁 기준 양식의 매출 감소율은 53.3%에 달했고, 일식(47.5%) 한식(43.8%) 중식(43.7%)이 뒤를 이었다.
농촌관광 피해도 심각하다. 전체 840개 농촌체험마을 중 34개 마을을 표본으로 선정해 조사한 결과 6월 둘째 주(8∼14일) 예약 취소율은 방문객 기준으로 92.8%였으며 금액 기준으로는 95.6%에 달했다. 예약 취소율은 메르스 확산세에 따라 급격히 높아졌다. 메르스 확산 전인 5월 3∼4주에는 취소율이 방문객 기준 3.3%(금액 기준 4.3%) 수준이었지만, 6월 첫째 주 64%(75.3%)로 높아지고 지난주에는 거의 대부분의 관광 예약이 취소됐다.
정부는 이와 관련, 관광 취소 피해가 큰 마을 등의 실태조사를 통해 7∼11월 1500명 규모의 ‘농촌관광 맞춤형 체험단’을 보내는 등의 대책을 제시했다. 정부가 체험단에 숙박·식비·교통비 등 비용을 지원하는 방식이다. 또 7월 이후 기업체 임직원 여름휴가, 수학여행, 1교1촌 결연운동 등과 연계해 농촌관광을 집중 홍보할 계획이다. 외식업계 지원을 위해 기획재정부 등과 협의해 농수산물 의제매입세액공제 한도를 확대하고 세제혜택 종료시점을 내년 말까지 연장하는 등 세법 개정을 추진할 방침이다. 현재 27억원인 식품외식종합자금 내 외식업체 육성자금 배정한도를 최대 300억원으로 확대하고, 현행 연 3∼4%인 정책금리를 낮추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한편 정부는 이날 국무회의에서 메르스 대응을 위해 필요한 예비비 505억원 지출안을 의결했다. 이 예비비에는 마스크·보호구 등 국가 비축물자 구입비(150억원)를 포함한 물자·장비·의료진 공급 262억원과 선별진료소 설치비용 69억원 등이 포함돼 있다. 나머지 174억원은 의심·확진 환자 치료비와 감염병 관리기관으로 지정된 병원의 경제적 손실을 보전해주기 위한 보상액 등에 쓰일 예정이다.
조민영 기자
[관련기사 보기]
메르스 직격탄… 외식업 매출 40% 가까이 급감
입력 2015-06-17 02: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