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은 15일 국회법 개정안을 두고 당내 일부 반대를 무릅쓰고 정의화 국회의장의 중재안을 수용하는 유연한 면모를 보였다. 하지만 황교안 국무총리 후보자 임명동의안에는 반대 입장을 재차 강조하면서 원칙적이고 강경한 입장을 강조했다.
새정치연합은 의원총회에서 국회법 개정안 문제에 대한 모든 결정을 이종걸 원내대표에게 위임키로 했다. 이언주 원내대변인은 국회 브리핑에서 “(의원) 다수가 ‘요구’를 ‘요청’으로 바꾸는 자구 수정은 큰 차이가 없기 때문에 원내대표, 원내지도부에게 일임하자고 했다”고 전했다. 다만 설훈 김기식 의원 등은 “국회가 입법권을 행사한 것인데 아무리 자구 수정이지만 다시 수정하는 것 자체가 바람직하지 않다”는 취지로 반대 의사를 나타낸 것으로 알려졌다.
새정치연합이 중재안을 수용한 것은 메르스 사태로 국민 피해가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국회법 수정안의 ‘자구’ 문제에 매달리는 것이 정쟁으로 비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으로 보인다.
반면 황 후보자 임명동의안을 18일 본회의 전에 처리하자는 여당 요구에 대해서는 반대 입장을 명확히 했다.
이 원내대표는 의총 후 기자들과 만나 황 후보자 인준안 처리 문제와 관련, “오늘(15일)부터 17일까지 사흘간 국민 여론을 보는 숙려기간 및 후속 입법에 대한 준비기간으로 삼아 황 후보자에 대한 단순한 발목잡기가 아니라 꼭 필요한 기간에 야당 활동을 통해 국민에게 성과를 내겠다”고 말했다. 이어 ‘18일 전까지는 (여당의 임명동의안) 단독 채택에 동의하지 않겠다는 것이냐'는 질문에 “현재까지는 그렇다”고 말했다. 이 원내대표는 새누리당 유승민 원내대표를 만나 황 후보자 임명동의안 처리를 위해 합의를 시도했으나 접점을 찾지 못했다.
당내에서는 새누리당이 임명동의안을 강행 처리할 경우 아예 본회의 표결에 불참하는 방안이 힘을 얻고 있다. 민병두 의원은 MBC라디오에 출연해 “이완구 총리 후보자 인사청문회 때는 투표에 참여해 반대 의사를 표했는데, 이번 당내 기류는 불참 쪽이 더 강하지 않나 관측하고 있다”고 전했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
[관련기사 보기]
野, 국회법은 ‘유연’… 황교안엔 ‘강경’
입력 2015-06-16 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