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빼는 김상곤… “막말은 反혁신 해당행위”

입력 2015-06-16 02:19
김상곤 새정치민주연합 혁신위원장(오른쪽)이 15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최고위원회·혁신위원회 상견례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최인호 조국 혁신위원(왼쪽부터)이 김 위원장의 발언을 듣고 있다. 이동희 기자

새정치민주연합 김상곤 혁신위원장이 15일 ‘반(反)혁신’과의 전쟁을 선포했다. 당내 불신과 분열을 조장하는 막말 등을 해당행위로 규정, 이런 행위를 한 이들에게 공천과 당직 인사 불이익을 주는 등 책임을 묻겠다는 것이다. 동시에 문재인 대표 등 당 지도부 ‘책임론’도 제기했다. 당 안팎에서 제기된 혁신위 비판·견제 발언들에 대해 단호히 대처하면서 혁신의 동력을 잃지 않겠다는 뜻으로 보인다.

김 위원장은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혁신위와 최고위 조찬 상견례에서 김경협 의원의 ‘세작(간첩)’ 발언, 조경태 의원의 ‘혁신위원 문 대표 전위부대’ 발언, 박지원 의원의 ‘당내 신당·분당 준비’ 발언 등을 언급하며 “이런 말들이야말로 반혁신이며 혁신의 장애물”이라고 지적했다. 또 “혁신을 반대하는 그 어떤 사람이나 세력도 용납하지 않겠다”며 당 기강 확립을 혁신의 첫 번째 과제로 제시했다. 또 김 위원장은 “문 대표와 지도부가 이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며 “그 직을 걸고 혁신위에 힘을 실어 달라”고 압박했다. 이어 “당무직 인선에서 혁신을 최우선에 둬 달라”는 요청도 했다. 최근 정무직 당직자 인선이 진통을 겪으면서 계파 갈등이 불거질 조짐을 보이자 공개적으로 우려를 표명한 것으로 보인다. 문 대표는 이후 비공개 회의에서 “당 대표직도 걸겠다”며 혁신에 대한 의지를 표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혁신위는 당 기강 확립 방안 중 하나로 당 윤리심판원 기능 강화를 염두에 두고 있다. 윤리심판원 제재를 통해 해당행위자의 공직 선출과 당직 인사에 적극적으로 불이익을 주는 방식이다. 당사에서 열린 2차 회의에서 혁신위는 기강 확립을 위한 원칙을 논의한 뒤 혁신과제를 5개 분야로 정리했다. ‘당내 기득권 구조 타파’ ‘사회적 특권 타파 및 불평등 해소’ ‘정당 강화’ ‘새정치 확립과 전국 정당화’ ‘공천 민주화’ 등이다. 기득권 구조 타파 방안이 최우선으로 논의될 예정이다. 인터넷 홈페이지와 22∼23일로 예정된 광주 워크숍에서 국민의 목소리를 적극 경청하자는 얘기도 나왔다.

한편 김 의원이 제소되면서 16일 새롭게 출범하는 윤리심판원이 김 의원에 대한 징계 여부와 수위를 검토하게 됐다. 임미애 위원은 혁신위 회의 직후 “윤리심판원이 자기 역할을 충실히 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박지원 의원은 의원총회 직후 기자들과 만나 자신의 발언에 대해 “‘야권이 분열해 패배하는 것을 막아야 한다’는 취지였다”며 “야권 통합을 강조한 것인데 오해하신 것 같다”고 해명했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