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메르스 사태에 따른 관광객 감소로 경영난을 겪는 관광업계를 위해 특별 융자를 실시한다. 또 외국인 관광객이 국내에서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을 경우 치료비와 여행경비를 지원하는 ‘한국관광 안심보험’을 내놓는다.
김종 문화체육관광부 2차관은 15일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브리핑을 통해 이런 내용을 담은 ‘메르스 대응 및 관광업계 지원 방안’을 발표했다.
특별 융자의 경우 여행업·호텔업 등 관광진흥법상 관광사업자로 등록된 17개 업종이 대상이다. 규모는 메르스 사태로 특별 배정된 400억원과 하반기에 이미 배정됐던 320억원 등 모두 720억원이다. 지난해 세월호 사태 직후 실시했던 500억원보다 40% 이상 늘어났다. 용도는 운영자금으로 제한되며 한도는 10억원, 대출금리는 연 1.5%(고정금리)다.
정부는 관광업 종사자가 유급 휴직할 경우 최대 180일간 월급여의 3분의 1 내지 3분의 2를 지원한다. 또 문체부·관광협회·여행업협회 등 3개 기관에서 원스톱 상담창구를 운영하고, 영세업체를 위해 기존 여행업공제회 중심의 공제제도를 확대키로 했다.
이와 함께 정부는 관광객(취업비자 제외)이 한국 체류기간에 메르스 확진을 받을 경우 이를 보상하는 안심보험을 개발키로 하고 보험사와 협의 중이다. 오는 22일부터 내년 6월 21일까지 한국에 들어온 관광객이 대상이다. 보험료는 정부가 부담한다. 보상액은 여행경비와 치료비(실비), 3000달러의 지원금(사망 시 최대 1억원)이다.
이밖에 비수기에 실시했던 ‘코리아 그랜드세일’ 행사를 앞당기고, 배우 김수현 등 한류스타를 활용한 관광 홍보물 제작과 드라마 ‘프로듀사’ 촬영지 관광상품 등 중국인 관광객을 위한 상품 개발도 추진한다.
문체부 관계자는 “메르스 발생 이후 지난 13일까지 방한을 취소한 외국인 관광객은 10만8000여명이고 중화권이 75%”라며 “홍콩에서 2003년 3월 사스 발생 후 7개월간 외국인 관광객이 감소했지만 사스 종료 후 5개월간 관광객이 급증했다”고 설명했다.
남호철 선임기자 hcnam@kmib.co.kr
[관련기사 보기]
[메르스 재난] 직격탄 맞은 관광업계에 720억 융자
입력 2015-06-16 02: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