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잇따른 병원 부분폐쇄 속 의료공백 최소화하라

입력 2015-06-16 00:50
메르스 사태가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으면서 의료공백이 걱정이다. 특히 삼성서울병원이 오는 24일까지 병원 일부를 폐쇄했고 보라매병원과 원자력병원도 응급실을 닫으면서 의료 차질 우려가 현실화되고 있다. 정부와 대한의사협회는 삼성서울병원 환자의 병원 이동과 국민안심병원 운영 등을 통해 혼란을 최소화하겠다고 하나 실효가 있을지 의문이다.

하루 평균 응급환자 200여명과 외래환자 8500여명이 찾는 데다 15일 현재 830여명이 입원해 있는 삼성서울병원의 부분 폐쇄는 당장 의료 현장에 혼선을 가져올 수밖에 없다. 병원측은 “환자가 원하면 다른 병원으로 옮기는 것을 적극 돕겠다”고 밝혔지만 현실은 간단치 않다. 이 병원 환자들이 옮겨가기를 원하는 대형 종합병원들이 공개적으로는 적극 동참하겠다고 하나 내심 다른 생각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삼성서울병원의 감염 차단 정도를 신뢰하기 힘든 상태에서 무조건 환자를 받을 수 없다는 것이다. 환자를 받더라도 선별하고 격리치료를 원칙으로 하겠다는 입장이어서 수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무엇보다 대형 종합병원들은 자체 환자만으로도 사실상 포화상태다. 삼성서울병원 환자들의 ‘엑소더스’가 시작되고 있으나 차질을 빚을 수밖에 없는 까닭이다.

정부가 메르스 걱정 없이 진료를 받을 수 있게 하겠다며 지정한 국민안심병원은 이날 현재 모두 161곳이다. 이들 병원 중 일부는 현실을 감안하지 않은 당국의 조처에 볼멘소리를 하고 있다. 심각한 호흡기 질환자의 경우 선별진료소 이용이 정부가 지시하는 것처럼 원활히 이뤄지기 어려운 데다 1인실 병실이 크게 부족한 상황에서 입원환자를 무조건 1인실에 있도록 하는 것은 무리라는 것이다. 정부가 의료 현장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탁상행정을 편다고 비판하기도 한다.

엉뚱한 피해를 본 환자들도 있다. 국립중앙의료원 등 전국 공공 의료기관이 메르스 전용 병원으로 운영되면서 기존의 입원 환자들이 병실을 비워야 했다. 문제는 이들 다수가 후천성면역결핍증 감염이나 중증 결핵환자 등 공공 의료기관을 중심으로 치료가 이뤄지는 의료 취약계층이라는 점이다.

정부의 미숙한 초기 대응이 자칫 의료대란으로 번질 수 있어 안타깝다. 그러나 힘을 모으면 얼마든지 극복할 수 있다. 일차적으로 대형 종합병원을 비롯한 의료기관들이 의료공백의 부담을 나눠 맡겠다는 자세를 가져야겠다. 정부는 의료 관련 단체들과 수시로 만나 혼선을 최소화하는 데 모든 역량을 모아야 한다. 만에 하나 적극적으로 협조하지 않는 의료기관은 의료법 등에 의거해 제재하는 방안도 주저하지 않아야 할 것이다. 국민들은 예방에 힘쓰는 한편 특정 의료기관에 대해 필요 이상의 과민반응을 자제하는 성숙한 시민의식을 보여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