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상품 시장이 최근 침체된 수출에 활력을 불어넣을 새로운 분야로 각광받고 있다. 코트라(KOTRA)가 15일 발간한 ‘세계 시장의 히트 환경상품’ 보고서에 따르면 고도의 기술에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입혀 국가별 소비 취향을 공략한 환경제품들이 환경시장의 성장세를 이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트라가 분석한 환경시장 공략 3대 키워드는 아이디어와 기술, 소비자 취향 등이다. 우선 환경시장에서도 독특한 아이디어 제품이 인기를 끌고 있다. 영국의 페이브젠(PaveGen)은 사람이 밟고 지나가면 전력을 생산해내는 보도블록으로 주목받고 있다. 미국의 대표 전자기업 델(Dell)은 완전 분해가 가능한 버섯패키징을 개발, 기존 스티로폼 대신 버섯 포자를 원료로 한 포장재를 선보여 호평 받았다.
끊임없는 기술 개발로 만들어낸 혁신제품도 환경시장 성장세를 주도하고 있다. 프랑스 완성차 기업 르노는 전기자동차에 배터리 임차 서비스를 도입해 절반 이상의 시장점유율을 확보했다. 일본 기업 토토(TOTO)도 기존 양변기 대비 최대 70%의 절수 효과를 가진 양변기를 개발해 업계 선두를 달리고 있다.
국가별 소비자 취향을 파악한 친환경 공략 포인트도 잘 찾아내야 한다. 유럽인들의 경우 고효율 가전제품을 선호하고, 인체 유해 수치를 명기하는 마케팅이 효과적이다. 반면 중국에서는 고효율 가전제품에 인테리어 기능까지 함께 선보여야 주요 소비층인 여성 고객들을 사로잡을 수 있다.
국내 기업들도 환경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중국에서 천연 성분을 내세우며 친환경 ‘K뷰티’로 명성을 얻고 있는 리더스 마스크팩과 알로에 수딩젤은 현지 포털 사이트 ‘바이두’의 인기 검색어에 오르기도 했다. LG하우시스의 벽지는 친환경 우수등급 기준을 획득해 중국 소비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양은영 코트라 통상지원총괄팀장은 “확대되는 환경상품 시장에서 우리 기업들이 수출 기회를 마련하기 위해서는 차별화된 제품 및 기술 개발, 디자인과 소비자 취향 연구 등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노용택 기자 nyt@kmib.co.kr
코트라 “국내 기업 수출 부진… 아이디어 환경상품으로 뚫어라”
입력 2015-06-16 02: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