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3차 유행 비상] 삼성서울병원 이송요원 격리 지연 왜?

입력 2015-06-15 03:44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고도 격리되지 않은 채 9일간 근무했던 삼성서울병원 응급실 이송요원(55·137번 환자)이 비정규직인 용역 직원이어서 관리 대상에서 빠졌던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는 14일 137번 환자 격리 조치가 지연된 이유를 조사한 결과 메르스 접촉자 명단을 작성하는 단계에서 외부 용역업체 직원이라는 이유로 빠진 것으로 파악됐다고 14일 밝혔다. 서울시는 “삼성서울병원이 메르스 방역 과정에서 이송요원 같은 비정규직을 부실하게 관리한 정황이 있다”며 “이 병원 비정규직 2944명에 대해 메르스 증상 전수조사를 하겠다”고 밝혔다. 또 6월 2∼10일 병원을 방문한 사람이나 외래환자는 신속히 서울시 120다산콜센터에 연락해 달라고 당부했다.

지난달 말 삼성서울병원 응급실에서 메르스 환자에게 노출돼 2일부터 발열 증상을 보인 137번 환자는 병원 측 관리 대상에 빠져 10일까지 9일간 격리되지 않은 채 환자 이송 업무를 계속했다. 류경기 서울시 기획조정실장은 “뒤늦게 확진된 삼성서울병원 내과 의사(138번 환자)도 병원의 추적 관리가 부실했음을 여실히 보여준다”며 “자체 조사 결과와 명단의 정확성이 떨어졌고 대응 조치도 실효성이 없어 초기 대응에 실패했다는 결론”이라고 말했다.

서울시는 삼성서울병원에 대한 전면 폐쇄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창보 서울시 보건기획관은 “중앙메르스대책본부의 민관합동 태스크포스에서 전문가들이 삼성서울병원에 대한 더 단호한 조치를 복지부에 건의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박 시장은 이날 오후 최경환 국무총리 권한대행과 통화해 15일이나 16일 함께 삼성병원을 방문, 현장에서 대책회의를 열기로 했다.

김미나 기자 mina@kmib.co.kr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