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형주 널뛰기 심해지나” 빚 투자 개미들 멀미 걱정… 오늘부터 증시 가격제한폭 ±30%로 확대

입력 2015-06-15 02:00



주식시장 가격제한폭이 15일부터 현행 ±15%에서 ±30%로 배 확대된다. 코넥스시장(중소·벤처 전용 주식시장)을 제외하고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 상장지수펀드(ETF), 상장지수증권(ETN) 등이 대상이다. 가격제한폭이 확대되는 것은 유가증권시장의 경우 1998년 12월(±12%→±15%) 이후 17년 만이며, 코스닥시장은 2005년 3월(±12%→±15%) 이후 10년 만이다. 파생상품시장의 가격제한폭도 상품별로 현행 ±10∼30%에서 ±8∼60%로 확대된다.

금융 당국과 한국거래소는 가격제한폭 확대가 시장 거래를 활성화하고 거래 효율성을 개선할 것으로 기대하지만 시장 변동성이 커질 것이란 우려는 여전하다. 특히 중·소형주 중심의 변동성 확대, 공매도(주가 하락을 예상해 주식을 빌려 매도한 뒤 주가가 떨어지면 이를 되갚아 차익을 얻는 방식)에 대한 불안감, 빚을 내서 투자하는 신용융자 잔고 확대 등 위험요인이 제대로 관리되지 않을 경우 개인투자자들이 피해를 볼 가능성이 커졌다. 개인투자자들에게 빌려준 돈을 돌려받지 못할 가능성에 대비해 증권사들은 적극적인 위험관리에 나섰다.

◇위험관리 이상 없나, 긴장감 높아지는 주식시장=시장의 눈은 중·소형주의 변동성 확대 여부에 쏠려 있다. 코스닥시장의 경우 올해 급격한 상승세로 개인투자자들이 빚을 내 투자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주가가 급격히 하락하면 반대매매(돈을 빌려 주식을 매입한 후 약정된 기간 내 갚지 못하면 투자자 의사와 무관하게 주식을 일괄 매도 처분하는 것)가 늘어 지수가 일시 충격을 받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NH투자증권 김병연 연구원은 14일 “코스닥 내 시가총액 5000억원 이하 종목의 신용잔고 비율은 18%로 시총 5000억원 이상 종목이 2%대인 것에 비하면 높은 수준”이라며 “코스피에서도 시총 1000억∼5000억원 구간 종목의 신용잔고 비율이 다른 종목보다 높다”고 분석했다.

반면 금융 당국은 가격제한폭 확대의 순기능에 주목한다. 2005년 코스닥시장의 가격제한폭이 확대됐을 때 하루 평균 거래량은 3억6336만주에서 5억7428만주로 증가했지만 주가 변동성은 4.59%에서 4.32%로 줄었다. 당국은 인위적으로 상한가를 만들어 주가를 올린 뒤 주식을 매도하는 상한가 굳히기와 같은 불공정거래도 줄어들 것으로 본다. 거래소는 특별한 사유가 없는데도 주가가 급변하면 상장사에 공시를 요구해 관련 정보를 투자자들에게 알리고, 주가 등락이 심한 종목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키로 했다.

거래소는 또 변동성 완화 차원에서 ‘서킷브레이커’를 지수하락률 단계별(8%, 15%, 20% 등 3단계)로 발동키로 했다. 서킷브레이커란 주가지수가 전일 대비 10% 이상 급변하는 상태가 1분 이상 계속되면 주식 거래를 20분간 중단하는 제도다. 직전 단일가 기준 장중 주가 변동폭이 10%를 넘으면 2분간 단일가 매매로 전환하는 정적변동성 완화장치도 도입된다.

◇증권사, “신용거래 조건 까다롭게 정비”=증권사들은 신용거래 담보비율을 높이고 반대매매 조건을 강화하는 등 리스크 관리를 강화하고 있다. 주가 변동성이 커질 경우 투자자들에게 빌려준 돈을 제때 돌려받지 못할 가능성도 커졌기 때문이다. 신한금융투자와 하나대투증권은 현재 담보부족 발생일 이틀 뒤에 반대매매를 실시하지만, 앞으로는 담보부족 발생일 다음 날 주식을 처분키로 했다. 미래에셋증권도 담보비율이 130% 미만으로 떨어지면 반대매매 기간을 이틀 뒤에서 하루 뒤로 줄이기로 했다. 증권사들이 신용거래 진입장벽을 높이면서 개미투자자들의 투자가 위축돼 시장에서 외국인과 기관투자자 비중이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중·소형주의 변동성이 커질 위험성을 우려하고 있다. 대신증권 김영일 연구원은 “과거와 달리 확대 폭이 크고, 주식시장 내 신용거래 비중이 높기 때문에 7월까지는 변동성 스트레스가 커질 수 있다”고 진단했다. 금융연구원 김영도 연구위원도 “가격제한폭 확대 영향으로 시장 변동성과 투기적 수요 증가가 장기화할 경우 공매도 및 대차거래 등이 과열될 가능성이 높다”며 “이를 완화하기 위한 공시 강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백상진 기자 shark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