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가 그동안 효율성과 경영 등에 문제가 많다는 지적이 나온 대구경북연구원(이하 대경연구원)의 조직과 운영체계를 대폭 손질한다.
경북도와 대구시가 공동으로 설립한 대경연구원은 이 같은 문제 때문에 올해 경북도가 지원하는 운영비 가운데 12억원이 도의회에서 삭감되는 수모를 겪었다.
이에 따라 경북도는 대경연구원 운영 효율화 방안을 연구하기 용역을 시행한다고 14일 밝혔다.
또 조직·연구·소통 3대 혁신과제를 추진한다.
연구 성과와 질이 낮다는 지적에 따라 성과가 떨어지는 연구자를 내보기로 했으며 연구가 경북보다 상대적으로 대구에 편중되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대구와 경북본부장 책임 경영제를 도입한다.
연구의 질적 수준을 제고하기 위해 외부 전문가가 참여하는 연구평가시스템을 개선하고 표절방지 시스템을 도입해 연구보고서 유사·중복 사례도 막는다는 방침이다.
일부에서는 방만 경영, 낮은 연구 성과 등으로 대경연구원 존립에 의문을 제기하기도 했다.
경북도의회 김위한 의원에 따르면 대경연구원 2012년부터 3년간 세출결산 집행비율은 일반회계가 평균 82%, 연구사업비 집행비율은 평균 69%에 그쳤다.
실제로 필요한 금액보다 예산을 과다하게 책정해 비효율적으로 집행한다는 의미다.
또 최근 3년 동안 수행한 경북도 정책과제 114건 가운데 단 2건만 연구원 자체로 제시했을 뿐 나머지 109건은 경북도, 3건은 공모과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김 의원은 “2013년에는 다른 논문·보고서와 유사율이 32%인 보고서가 발견되기도 했다”며 “연구 윤리에 심각한 문제가 있다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대구=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
효율성·경영 문제 논란 대구경북연구원, 조직·연구·소통 3대 혁신 추진
입력 2015-06-15 0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