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제2차 세계대전과 관련해 일본의 입장을 대변해 달라”며 미국 상·하원을 상대로 지속적인 로비를 벌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해 미국 교과서 ‘동해(East Sea)’ 병기를 막기 위해 선임했던 대형 로펌과의 계약도 갱신했다. 국제사회의 비판에도 과거사 책임을 인정하지 않는 일본 정부가 대미 로비를 통해 책임을 무마하려는 양상이다.
14일 국민일보가 입수한 미 법무부의 외국대리인등록법(FARA) 자료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영·미 합작 대형 로펌인 호건로벨스와 ‘제2차 세계대전 등과 관련된 미·일 간의 정책적 이슈에서 일본 정부의 요구를 대변할 것’을 골자로 지난 4월 로비 계약을 체결했다. 계약 금액은 호건로벨스가 청구하는 대로 하기로 해 공개되지 않았다. 계약 기간은 내년 3월 31일까지다.
일본 정부는 지난해 미 버지니아주 공립학교 교과서에 일본해-동해를 병기하는 내용의 법안이 통과되는 것을 막기 위해 선임했던 맥과이어우즈컨설팅과의 계약도 연장했다. 무역통상 부문을 중심으로 일본과 버지니아주 간 협력 증진을 위해 노력한다는 게 주 내용이다. 일본 정부는 지난해 이 로펌을 동원해 동해 병기 법안 저지를 위한 집요한 로비전을 펼쳤지만 무위에 그쳤었다.
국립외교원 김태환 교수는 “일본 정부가 말하는 제2차 세계대전 이슈에는 위안부 등 과거사 문제가 포함된 것으로 보인다”며 “일본의 공공외교 노력은 미국에 지정학적 이익을 가져다줬고, 나아가 일본 편향적인 발언도 낳게 했다”고 말했다. 미 법무부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로펌 50여곳을 고용해 전방위적 대미 로비에 나서고 있다.
나성원 이경원 기자
대형로펌 50여곳 동원 對美 로비… 日 ‘과거사 지우기’ 열올려
입력 2015-06-15 02: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