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은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사태로 인한 서민·자영업자·중소기업의 어려움을 감안해 금융회사별로 대출 만기 연장이나 금리 감면, 신규 대출 지원 방안을 마련해 15일부터 시행할 것을 각 금융협회에 요청했다. 이에 은행과 보험사들이 메르스로 영업에 타격을 입은 기업들에 대한 지원에 나섰다.
KB국민은행은 메르스 피해 기업·소상공인에게 업체당 최고 5억원을 신규 대출해주는 프로그램을 마련했다. 신한은행은 피해 업종 대출 지원용으로 1000억원의 긴급자금을 준비했고, 우리은행은 업체당 최대 3억원을 대출해주기로 했다. KDB산업은행은 메르스 피해 중소·중견기업에 긴급운영자금 1000억원을 지원하며, 기업은행도 3년까지 연장 가능한 피해 업종 신규 대출자금으로 1000억원을 배정했다. 농협상호금융과 농협은행은 가계 1000만원, 법인·기업에는 1억원 한도에서 저리 대출해주기로 했다.
손해보험협회와 생명보험협회도 메르스 피해 업종(관광·여행·숙박·공연 등) 중소기업에 대해 보험료 납부를 유예하고 피해복구 자금(보험계약 대출)을 신속 지원해주는 등의 대책을 마련했다. 지원 기간은 3개월이지만 상황에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금감원은 메르스로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들이 금감원과 중소기업진흥공단, 17개 은행, 신용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에 설치돼 있는 ‘중소기업 금융애로 상담센터’를 적극 활용할 것을 당부했다. 정부는 ‘메르스 경제영향 점검반’을 기획재정부 내에 설치했다. 점검반은 관계부처 합동 상황점검반 실무를 지원하면서 메르스의 경제적 영향을 매일 점검해 분석 결과를 내놓을 계획이다.
천지우 조민영 기자 mogul@kmib.co.kr
은행·보험사 “메르스 피해 中企 신속 지원”
입력 2015-06-15 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