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증시 가격제한폭 확대 부작용 예의주시해야

입력 2015-06-15 00:30
15일부터 주식시장 가격제한폭이 ±15%에서 ±30%로 확대된다. 1998년 ±12%에서 ±15%로 확대된 지 17년 만이다. 그 이전에도 가격제한폭이 꾸준히 확대돼 왔지만 이번처럼 2배로 늘린 것은 처음이라는 점에서 기대와 우려가 교차한다. 금융 당국은 과거 사례에 비춰 효율적인 가격 형성과 거래 활성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변동성 확대가 불가피한 만큼 정보에 취약한 개인투자자들이 피해를 볼 것이라는 우려도 상존한다.

거래소는 증시 불안요인을 예방하기 위해 추가적인 변동성 완화 장치와 단계별 서킷브레이커(거래 일시 정지) 등 여러 보완책을 마련해 놓고 있다. 주가 급등락이 우려되는 종목을 집중 관리하는 등 시장 감시도 강화하기로 했다. 그러나 개인투자자로서는 과도한 가격 급변에 대한 불안감을 떨쳐내기 어렵다. 왜냐하면 변동성이 심한 코스닥시장과 중소형주가 크게 출렁일 가능성이 많기 때문이다. 또 공매도 세력에 의한 투자자 피해도 가중될 수 있다.

특히 내츄럴엔도텍의 가짜 백수오 사태와 같은 악재가 터지면 시장의 충격은 엄청나게 커질 수밖에 없다. 테마주와 작전주도 조심해야 한다. 최근에는 메르스 관련 테마주들이 급등락을 반복하는 실정이다. 자칫 루머에 현혹돼 ‘묻지마 투자’를 할 경우 그 피해는 고스란히 본인에게 돌아온다. 코스닥시장에서 빚을 내 투자하는 신용융자 규모도 4조원에 육박하는 만큼 시장 참여자들의 위험 관리도 필요하다.

당국은 가격제한폭 확대로 인한 부작용은 크지 않고 오히려 작전세력의 상한가 굳히기 등 시세조종 행위가 줄어들 것이라고 전망하지만 사실 어떤 파장을 초래할지 누구도 알 수 없다. 당국이 시장 동향을 예의 주시하면서 필요할 경우 투자자 보호를 위한 추가 대책을 내놓아야 하는 이유다. 개인들도 책임이 본인에게 귀결되는 만큼 기업 실적과 가치에 초점을 맞춰 투자하는 방식으로 리스크를 최소화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