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렴 등 중증호흡기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를 일반 환자와 분리해 진료하는 ‘국민안심병원’이 도입된다. 보건복지부는 의사협회 병원협회 및 주요 병원장과 함께 회의를 갖고 국민안심병원을 운영키로 했다고 11일 밝혔다. 안심병원은 메르스 증상과 구분이 어려운 호흡기 환자를 응급실 밖에 별도로 설치된 선별진료실에서 진료한다. 폐렴 의심환자의 경우 1인실에 입원시켜 감염 가능성을 차단하는 것이다. 정부는 호흡기 환자가 기존 치료비용과 비슷한 수준에서 1인실을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안심병원에 온 메르스 의심환자는 검사를 받아야 한다. 음성 판정을 받으면 중환자실에 입원할 수 있다. 양성이 나오면 음압병상이 마련된 메르스 치료병원으로 옮겨진다. 안심병원의 의료진은 폐렴환자를 진료할 때 개인 보호장구를 착용한다. 접촉자 조회 시스템을 갖춰 감염환자와의 접촉 여부를 항상 살핀다. 전담 감염관리팀을 만들어야 한다.
복지부와 병원협회는 공동으로 안심병원 신청을 받는다. 11일까지 30여개 병원이 신청했다. 복지부는 12일부터 안심병원 명단을 공개할 방침이다.
하지만 메르스 치료병원, 노출자 진료병원, 안심병원 등이 모두 ‘말잔치’라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복지부는 10일 메르스 치료병원 16곳을 공개하면서 음압병상이 없는 부산대병원을 명단에 넣었다. 부산시는 부산대병원 대신 동아대병원을 넣어달라고 복지부에 요청한 상태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
[관련기사 보기]
[메르스 이번주 고비] 메르스 차단 ‘국민안심병원’ 도입… … 오늘 명단 공개
입력 2015-06-12 02: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