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가 11일 황교안 국무총리 후보자에 대한 임명동의안 처리 문제를 놓고 협상을 벌였지만 접점을 찾지 못했다. 새누리당은 12일 국회 본회의를 열고 인준 절차를 마무리해야 한다며 배수진을 쳤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새정치민주연합은 황 후보자에 대해 ‘부적격 판정’을 내린 만큼 인사청문경과보고서 채택에도 협조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새누리당 조해진 원내수석부대표는 국회에서 새정치연합 이춘석 원내수석부대표와 만나 이에 대해 논의한 뒤 “여야 합의로 12일 본회의를 열기는 어려운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 원내수석부대표는 “총리 인준과 관련한 본회의에 대해서는 협조하지 않겠다는 게 당의 입장”이라고 강조했다.
새누리당 원내지도부는 끝내 야당 반대에 부닥친다면 여당 단독으로라도 인준 절차를 밟을 계획이다. 유승민 원내대표는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인사청문) 경과보고서를 채택하자고 야당을 설득해보고, 안 되면 그런 상황은 피하고 싶지만 단독으로라도 (임명동의안을 처리) 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현재 국회 재적 의원 298명 가운데 과반인 160명을 새누리당이 차지하고 있어서 여당 단독 처리가 물리적으로 가능하다. 다만 정의화 국회의장이 야당의 강력 반발 속에서 임명동의안을 본회의에 상정할지는 미지수다. 유 원내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야당이 협의를 안 해주면 국회의장을 설득해 조속히 마무리하겠다”면서 야당을 압박했다.
그러나 새정치연합은 황 후보자가 총리로서 자격 미달이라는 주장을 고수했다. 특히 변호사 시절 황 후보자의 사면과 관련한 법률 자문에 대해 “법적 자문이라기보다는 전관으로서 로비를 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게 야당 측 논리다. 이종걸 원내대표는 국회에서 열린 정책조정회의 이후 기자들과 만나 “적격이든 부적격이든 인사청문경과보고서를 채택할 수 없다”면서 협조 불가 입장을 거듭 확인했다.
메르스 사태가 수그러들지 않은 상황에서 마냥 이 문제로 대치하기에는 여야 모두 정치적 부담이 큰 만큼 돌파구가 마련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새정치연합 이 원내대표는 이런 여론의 역풍을 염두에 둔 듯 “그(황 후보자 인준 절차)와 별개로 시급한 민생 문제 타결을 위한 대정부 질문 등 정상적 의사일정을 진행해 나갈 예정”이라고 했다. 새정치연합 일각에선 ‘부적격 의견’으로 인사청문경과보고서를 채택하자는 의견도 제기된 것으로 알려졌다.
새누리당 입장에선 단독으로 황 후보자 인준을 밀어붙일 경우 국회법 개정안 등에 대한 야당과의 협상이 파행을 빚을지 모른다는 우려도 있다.
여야 원내수석부대표는 황 후보자 인준 문제와 별도로 메르스 확산 방지를 위한 대책과 관련한 법안을 오는 25일로 예정된 국회 본회의에서 최대한 처리키로 합의했다. 또 국회 대정부 질문 일정을 6월 18, 19, 22, 23일 실시키로 했고 결산예비심사를 6월 임시국회에서 끝내기로 의견을 모았다. 새정치연합은 이밖에 국회 개헌특별위원회 설치와 ‘성완종 리스트’ 수사를 위한 별도의 특검 도입 등을 요구했으나 새누리당은 받아들이지 않았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
[관련기사 보기]
與 “황교안 동의안 단독 처리 불사” 野 “청문보고서 채택 협조 않겠다”
입력 2015-06-12 02: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