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메르스 확산 차단을 위해 전국 16개 대형병원을 집중치료기관으로 지정했다. 메르스 확진 환자와 자가격리자에게 한 달치 생계비인 110만원(4인 가구 기준)을 지원하고 관광·여행·공연 등 피해 업종과 해당 지역에 4650억원 규모의 자금을 지원키로 했다.
최경환 국무총리 직무대행은 10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대국민 당부의 말씀’을 발표하고 서울 보라매병원과 대전 충남대병원, 경기도 분당서울대병원, 충남 단국대병원 등을 지역별 메르스 집중치료기관으로 정했다고 밝혔다.
최 총리대행은 “정부가 공개한 메르스 노출 의료기관을 꼭 확인하고 해당 의료기관을 특정 기간 내 이용한 국민은 이상증세가 있을 경우 임의로 병원에 가지 말고 반드시 보건소에 신고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과도한 불안과 오해를 갖거나 발생 지역에 대한 소비기피 등 지나친 행동은 자제해 달라”고 호소했다.
자가격리 대상자들에 대해서는 “힘들고 불편하겠지만 본인과 가족, 이웃을 위해 조금만 인내해 달라. 긴급생계비 지원, 생필품 지원 등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했다. 마지막으로 “과도한 불안과 오해를 갖지 말고 일상적 활동을 해 달라”며 “정부는 어떤 경우에도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최우선으로 삼아 메르스 확산을 막겠다”고 강조했다.
최 총리대행은 이어 경제장관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각종 예산·금융·세정 지원 방침을 피력했다. 메르스가 경제에 미칠 영향이 심각하다고 판단되면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할 가능성도 내비쳤다. 아울러 관광개발기금 400억원을 연 1.5%의 저리로 대출해주고, 일시적으로 경영에 어려움을 겪는 피해 업종에는 총 250억원의 긴급 경영안정자금을 지원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최 총리대행은 곧바로 지방자치단체장 간담회에 참석, 각 지자체에 대한 전폭적 지원도 약속했다. 그는 “지자체가 메르스 대응 현장에서 겪는 애로사항을 즉각 해결하고 필요 예산이 신속히 지원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보건복지부는 메르스 최초 발병국인 사우디아라비아 대표단과 12일 전문가회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충북 오송 질병관리본부에서 진행되는 회의는 사우디아라비아 대표단의 분야별 전문가 발제와 우리 전문가들의 질의·응답 형식으로 진행된다. 메르스 대응을 위한 양국의 경험·정보 공유를 위한 것이다. 사우디아라비아 대표단은 알리 바락 보건부 국장 등 6명으로 구성됐다.
신창호 권기석 기자 procol@kmib.co.kr
[관련기사 보기]
[메르스 이번주 고비] 전국 16개 대형병원 ‘집중치료기관’ 지정… 정부, 메르스 대책 발표
입력 2015-06-11 02:10 수정 2015-06-11 18: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