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10일 대국민 담화까지 발표하며 메르스 예방수칙 준수를 다시 한번 당부했다. 사태가 조금씩 진정되는 상황에서 지역사회 확산을 막으려면 국민 도움이 절실하다는 판단에서다. 전문가들은 메르스 조기 종식을 위해선 ‘안전병원’ 도입 등의 정책뿐 아니라 성숙한 시민의식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공익을 위해 어느 정도 희생은 감수해야 한다는 것이다.
◇국민에게 도움 요청한 정부=최경환 국무총리 직무대행이 10일 발표한 대국민 당부는 5가지로 요약된다. 메르스 환자가 발생한 병원에 방문한 뒤 발열 등 증상이 나타나면 보건소에 신고부터 해 달라고 했다. 함부로 응급실 등에 들렀다가 다른 환자에게 바이러스를 전파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당분간 사람이 많은 대형병원을 찾기보다 거주지 인근 병원을 이용하는 것도 필요하다. 기침이 심할 경우 꼭 마스크를 착용하고, 병문안은 되도록 자제하는 것이 좋다. 의심환자로 분류돼 자택 격리됐을 때엔 또 다른 전파를 막기 위해 외출을 삼가야 한다. 무턱대고 메르스 발생지역을 피하기보다 과도한 불안과 오해를 버리는 것도 중요하다.
이재갑 한림대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감염병과 관련해 국민이 나서지 않고 해결된 사례는 없었다”며 “정부 정책에 맞춰 모두가 자발적으로 메르스와의 전쟁을 벌여야 한다”고 말했다. 오명돈 서울대 감염내과 교수도 “진료 전 병원 방문 이력을 숨겨 감염이 확산되는 사례가 있었다”며 “병력을 정확히 밝히고 한 병원에서 꾸준히 치료받는 게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달라지는 메르스 의료 체계=메르스 사태가 중반을 넘어감에 따라 정부는 서울 보라매병원 등 ‘치료병원’ 16곳과 서울 서북병원 등 ‘노출자진료병원’ 32곳을 운영키로 했다. 치료병원은 음압격리실에서 중증 메르스 환자를 치료하는 대학병원 규모의 병원이다. 노출자진료병원은 전체 병동 혹은 독립된 병동을 1인실로 확보해 경증 환자, 의심환자를 진료하게 된다.
복지부는 여기에 ‘안전병원’을 추가 지정해 메르스 사태가 진정될 때까지 운영할 방침이다. 안전병원은 메르스가 아닌 호흡기 질환자 등이 찾을 수 있는 의료기관을 말한다. 병원협회와 협의를 거쳐 11일 구체적인 운영 방안을 발표키로 했다. 비용은 건강보험에서 지원된다.
현재 전국 의료기관 응급실 237곳(44%)에서 운영하고 있는 선별진료소는 응급실 외부나 의료기관 안에 따로 마련된 진료시설이다. 의심 환자는 응급실 출입 전에 먼저 선별진료소에 들러 진료를 받게 된다. 복지부 관계자는 “병원별로 의심환자와 경·중증 환자를 확실히 구분해 메르스 추가 감염을 막기 위해 노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메르스 의심되면 보건소에 연락부터=만약 기침과 발열, 근육통, 소화장애 등 메르스 의심 증상이 나타나면 어떻게 해야 할까. 우선 정부가 발표한 수칙에 따라 메르스가 발병한 병원을 다녀온 적이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이어 곧바로 보건 당국이 운영하는 메르스 핫라인(043-719-7777)이나 가까운 보건소에 연락을 취해야 한다. 신고를 한 뒤에는 바깥출입을 자제하는 것이 좋다. 메르스 관련 검사비용과 확진 판정 후 치료비는 전액 국가가 지원한다.
자택 격리가 됐을 때는 생활공간은 물론 수건 등 생필품도 따로 써야 한다. 일회용 마스크를 쓰는 게 좋다. 병원 등 의료기관을 방문할 때는 손을 항상 깨끗이 씻고, 씻지 않은 손으로 눈·코·입을 만지지 않는 것이 좋다. 발열이나 기침이 있는 사람과 접촉을 최대한 피해야 한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
[관련기사 보기]
[메르스 이번주 고비] 지역사회 확산 막기 절박감… “성숙한 시민의식 발휘를” 호소
입력 2015-06-11 02: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