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광복 70주년을 맞아 일본식 한자어 등 순화해야 할 20개 단어를 선정해 10일 발표했다.
이는 공공언어 및 일상어 속에 남아있는 일제 잔재 용어들을 찾아 바로잡는 ‘우리말 바로잡기’의 일환으로 지난 4월 23개 순화어 발표에 이은 두 번째 발표다.
이번에 선정된 순화대상 용어는 일본식 한자어 및 일본어투 생활용어 17개, 한자어 3개다. 시는 일본식 한자어 중 공람(供覽)은 ‘돌려봄’으로, 애매(曖昧)하다는 ‘모호하다’로, 호우(豪雨)는 ‘큰비’로 바꿔 쓸 것을 권장했다.
일본어 투 생활용어로는 쇼부→흥정, 분빠이→분배, 기스→흠집, 사라→접시, 노가다→막일꾼, 땡깡→투정(생떼), 쓰키다시→곁들이찬, 가라→가짜, 무대뽀→막무가내 등이 순화어로 선정됐다.
서울시는 국어 사용 조례에 따라 용어 순화에 대한 사항을 11일 고시되는 서울특별시보에 실어 시민과 공무원이 함께 바른 우리말을 사용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했다.
시는 앞으로도 일제 잔재 용어들을 찾아 지속적으로 바른 우리말로 순화할 계획이다. 김재중 기자 jjkim@kmib.co.kr
일본어투 ‘쇼부’는 ‘흥정’으로 쓰세요… 서울시, 순화 단어 선정
입력 2015-06-11 02: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