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는 9일 이틀째 열린 황교안 국무총리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 황 후보자의 변호사 시절 수임내역 미공개 사건 19건을 열람하고 이 부분에 질의를 집중했다. 특히 황 후보자가 2012년 1월 사면과 관련해 자문한 것이 드러나면서 공방이 벌어졌다.
새정치민주연합 은수미 의원은 “2012년 1월 (12일) 특별사면 당시 청와대 민정수석이 황 후보자의 사법연수원 동기였는데 (2012년 1월 4일 황 후보자가 수임한) 사면 자문과 서로 관련이 있느냐”고 물었다. 황 후보자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 사면에 대해 자문을 시작한 것은 훨씬 뒤였다”며 제 기억으로는 7∼8월 정도 돼서 자문 얘기를 듣고 진행을 해줬기 때문에 (당시) 사면과 전혀 관계가 없는 자문”이라고 답했다.
하지만 같은 당 홍종학 의원은 “1월에 수임 계약하고, 자문은 7월에 하는 게 말이 되느냐”고 따졌고, 정의당 박원석 의원도 “(황 후보자가) 고검장을 막 마치고 나온 변호사였기 때문에 로비 의혹이 충분히 있다”고 했다.
황 후보자는 2013년 1월 이명박 전 대통령의 측근인 최시중 전 방송통신위원장 등이 포함된 사면에 개입했느냐는 질문에도 “전혀 무관하다”고 답했다.
황 후보자는 사면 관련 질의가 이어지자 재차 “추측에 의해서 명예를 훼손하는 부분이 걱정된다” “그분은 실제 사면을 받지 못한 것으로 저는 알고 있다”고 답변했다. 이 과정에서 언성을 높이기도 했다.
새누리당은 엄호에 나섰다. 김제식 의원은 “정말로 (사면) 자문할 게 너무 많다. (야당 의원들이) 무슨 자문을 했겠느냐 했는데 잘 모르고 하는 말”이라며 황 후보자를 두둔했다. 같은 당 권성동 의원도 “사면 요청서를 구구절절 설득력 있게 써야 하는데 그럴 능력 없을 때 법무법인에 요청한다”고 거들었다.
오전 청문회에서는 신상에 대한 검증도 계속됐다. 새정치연합 김광진 의원은 “황 후보자 장남이 군에 복무할 당시 부대 사령관과 황 후보자가 같은 모임에서 활동한 정황이 있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그러나 황 후보자는 “전혀 부끄러움이 없다”고 반박했다.
김 의원은 또 메르스 사태와 관련해 박근혜 대통령의 방미 일정을 연기해야 하는 것 아니냐고 물었고, 황 후보자는 “지금으로서는 현장 상황을 더 검토하면서 대책을 생각하는 게 좋겠다”며 원론적 입장만 피력했다.
야당 의원들은 또 “부산 여자가 드세다”는 황 후보자의 과거 발언도 여성비하 발언이라고 비판했다. 황 후보자는 이에 대해 거듭 사과했다.
임성수 조성은 기자 joylss@kmib.co.kr
여야, 황교안 2012년 사면 자문 공방
입력 2015-06-10 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