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이번주 고비] 휴대전화 번호까지… 서울시, 격리대상자 개인 정보 유출

입력 2015-06-10 02:02

중앙정부에 메르스 관련 투명한 정보 공개를 요구해온 서울시가 정작 보호돼야 할 자가격리 대상자들의 개인신상 정보를 유출해 논란이 일고 있다.

8일 서울시 홈페이지에 박원순 서울시장 명의로 ‘메르스(MERS) 대응관련 자가격리통지서 발부계획’ 문서와 여기에 첨부된 자가격리 대상자 신상정보 명단(엑셀파일)이 게재됐다. 서울시는 이런 사실을 모른 채 자가격리 대상자들의 개인 정보를 밤새도록 방치했다가 하루가 지난 9일 오전 11시쯤에야 명단을 삭제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직원의 실수로 인해 일시적으로 비공개 문서가 공개됐다”고 해명했다. 이는 서울시가 메르스 확진 환자와 격리 대상자의 개인정보를 철저히 보호하겠다고 밝힌 것과 정면으로 배치된다.

개인정보가 공개된 자가격리 대상자는 지난달 30일 삼성서울병원 의사 A씨(35번 환자)가 참석했던 강남구 개포1단지 재건축조합 총회 개최 장소인 서초구 양재동 L타워의 일용직 120명과 보안요원 30명 등 모두 150명이다. 일부 자가격리 대상자의 경우 부분적으로 정보가 누락돼 있지만 대부분 이름과 성별, 생년월일, 주소, 휴대전화번호까지 공개됐다.

당시 메르스 확진판정을 받은 A씨가 참석한 것으로 확인되면서 재건축조합 총회 참가자 1565명이 자가격리 조치를 받았다. 박 시장은 지난 4일 긴급기자회견을 열어 A씨가 불특정 다수를 접촉했다는 사실을 공개하면서 본인에게 확인도 하지 않은 채 불확실한 동선을 밝혀 A씨의 반발을 샀다.

지방자치단체장의 메르스 관련 개인정보 유출은 지난 6일 이재명 성남시장이 1차 검사에서 양성 판정을 받은 의심 환자의 직장과 거주지, 자녀가 다니는 학교 등의 실명을 공개하면서 논란이 촉발됐다.

김재중 기자 jjkim@kmib.co.kr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