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8일 메르스 확산 고비를 맞아 사태 수습을 위한 총력 대응에 나섰다. 특히 박 대통령은 오후 범정부 메르스대책지원본부를 찾은 자리에서 “이번 주 모든 방역 역량을 투입해 메르스 확산세를 잡겠다는 각오로 총력 대응해 달라”며 “모든 부처를 지시·감독하고 국민들과 함께 협조하면서 (수습)해나가겠다”고 밝혔다. 메르스 사태의 중대한 고비인 이번 주에 모든 국가적 역량을 동원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드러낸 것이다.
◇박 대통령 “하루 25시간 각오로 뛰어 달라”=박 대통령은 최근 매일 새벽부터 이병기 비서실장과 담당 수석으로부터 메르스 관련 보고를 실시간 받고 지시를 내리고 있다고 청와대는 밝혔다.
민경욱 청와대 대변인은 “어제(7일)만 해도 병원명 공개 등 전면적인 정보공개를 포함한 정부의 메르스 긴급대책 발표가 진행되는 상황이었는데 (박 대통령은) 비서실장 등과 전화를 통해 ‘메르스가 종료될 때까지 하루가 24시간이 아닌 25시간이라는 각오로 뛰어 달라’고 당부했다”고 밝혔다.
현정택 정책조정수석도 기자들과 만나 “어제 박 대통령은 참모들과 거의 30차례 전화 통화를 했다”며 “(메르스와 관련해) 대통령이 전 내각과 정부를 통솔하는 것은 틀림없는 사실”이라고 말했다. 청와대 관계자들은 “이 비서실장이 어제 하도 바빠 라면을 먹었다”고 전했다.
청와대가 이처럼 메르스 사태 수습과 관련한 내부의 대응 상황이나 박 대통령의 비공개 발언을 소개한 것은 매우 이례적이다. 청와대가 메르스 발병 초기 대응을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았다는 일각의 지적과 함께 대통령이 사태 수습을 위해 직접 전면에 나서야 한다는 여론에 따른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국민적 불안이 계속 확산되는 이번 주가 중대 고비인 만큼 정부는 물론 지자체, 관련기관의 모든 역량이 총동원돼야 한다는 게 박 대통령의 구상이라고 청와대는 설명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7일 정부의 메르스 환자 발생·경유 병원명 공개도 대통령 지시에 따른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박 대통령은 이번 주가 메르스 확산 사태의 최대 고비로 판단하고 모든 국가적 역량을 방역에 동원하겠다는 방침이라고 청와대는 설명했다. 박 대통령은 이번 주에 국무회의 등 필수적인 회의, 주요 외빈 접견 외에 특별한 일정을 잡지 않았다. 다만 14∼19일로 예정된 미국 방문 계획은 예정대로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컨트롤타워 혼선? 청와대 “수시소통”=메르스 대응을 위한 범정부 차원의 컨트롤타워가 한동안 명확히 규정되지 않아 혼선을 초래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메르스 사태가 진행되면서 중앙방역대책본부,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 범정부 메르스대책지원본부, 민관종합대응 태스크포스(TF), 청와대 긴급대책반 등으로 관련 본부와 태스크포스가 갈리면서 어느 쪽이 컨트롤타워냐는 지적이 계속됐던 것이다. 보건복지부는 지난달 20일 중앙방역대책본부를 구성, 28일 차관급을 본부장으로 하는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로 격상한 뒤 지난 2일 장관급으로 다시 격상시켰다. 청와대는 지난 3일 복지부 질병관리본부장과 민간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민관종합대응 TF가 이번 사태의 컨트롤타워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후 민관대응 TF의 책임자는 복지부 장관이 맡게 됐다.
정부의 최종 책임이 있는 컨트롤타워 소재지에 대한 의문이 계속되자 청와대는 메르스 사태 최종 컨트롤타워는 최경환 총리 직무대행에게 있다고 밝혔다. 청와대는 “지금까지 3개의 본부·TF가 구성돼 각자 맡은 역할을 하고 있는데 국무총리가 중앙안전관리위원장이고 관계장관회의를 열기 때문에 총리를 컨트롤타워로 보면 된다”고 말했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
[관련기사 보기]
[메르스 이번주 고비] “하루 25시간 각오로 뛰어달라” 朴, 메르스 챙기기 나섰는데…
입력 2015-06-09 0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