原電 2기, 삼척이나 영덕에 더 짓는다

입력 2015-06-09 02:06

정부가 2029년까지 강원도 삼척 또는 경북 영덕에 원자력발전소 2기를 신설하기로 했다. 최종 입지는 2018년쯤 확정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 현재 건설 중이거나 건설이 확정된 원전은 총 13기다.

산업통상자원부는 8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제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안)(2015∼2029년)을 국회에 제출했다. 전력수급계획은 향후 15년간 필요한 전력량과 이를 어떻게 공급할지를 담은 내용으로 2년마다 작성된다.

정부는 이번 수급계획에서 국내 전력 소비량이 매년 2.2% 늘어날 것이라는 전제 아래 2029년 전력소비량은 6억5688만㎿, 최대 전력은 1억1193만㎾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정부는 이를 바탕으로 2029년까지 필요한 적정 전력설비 규모는 13만6553㎿로 추산했다. 지난해 말 현재 우리나라의 전력설비 규모 9만3216㎿에 현재 건설이 확정된 전력설비 13만3684㎿를 합해도 2869㎿가 부족한 상황인 것이다. 이 부족분을 충당하기 위해 각각 1500㎿ 규모의 원전 2기를 추가로 건설하겠다는 것이 정부의 계획이다. 정양호 산업부 에너지자원실장은 “전력수급 전망에 따를 경우 약 3000㎿ 물량이 부족한데 이를 충당하기 위해 원전 2기를 짓겠다는 것이 이번 계획의 큰 그림”이라고 밝혔다.

문제는 최종 입지다. 한국수력원자력이 ‘대진(삼척) 1·2호기’ 또는 ‘천지(영덕) 3·4호기’를 신규로 짓겠다는 내용을 담은 건설의향서를 제출하면 이를 바탕으로 2018년 발전사업 허가 단계에서 최종 입지를 선정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갈등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삼척은 지난해 이미 원전 건립 찬반 여부를 묻는 주민 투표에서 84.97%가 건설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내놓아 논란이 된 상태다. 영덕에서도 주민들의 반대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다.

정부는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고리 1호기에 대한 2차 수명연장 문제에 대해서는 10일 원자력발전전문위원회, 12일 에너지위원회 등 각계 의견을 수렴해 18일 이전까지 방침을 내놓겠다고 밝혔다.

이번 7차 전력수급계획에 따라 신규 건설될 원전 2기와 연내 가동될 신월성 2호기를 포함하면 현재 국내에서 건설 중이거나 건설이 확정된 원전은 13기다. 고리 1호기가 폐로되지 않을 경우 국내 가동 원전은 2029년 36기까지 늘게 된다.

한편 정부는 기존 6차 전력수급계획에 포함돼 있던 석탄화력발전 설비 중 고체연료 사용, 송전선로 문제로 건설 이행이 어려운 영흥 7·8호기(1740㎿)와 동부 하슬라 1·2호기(2000㎿) 건설 계획을 철회했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