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정보 공유와 민관 협력만이 메르스 확산 막는다

입력 2015-06-09 00:30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가 전국으로 확산되고 있다. 확진 환자도 갈수록 늘어 급기야 한국이 사우디아라비아에 이어 세계 2위의 발병 국가라는 오명을 듣게 됐다. 방한 예약을 취소한 외국인 관광객이 수만명에 달할 정도로 한국이 ‘방문 기피 국가’가 될 조짐까지 보이고 있다. 인터넷에서는 한국 약어(KO)를 붙여 ‘코르스(KORS)’로 개명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비아냥도 나오고 있다.

7일에는 하루 최다인 23명의 확진 환자가 발생했는데 이들 모두 3차 감염자다. ‘2차 진원지’로 떠오른 삼성서울병원에서 감염된 환자가 17명으로 가장 많았다. 발생 지역도 경기도 시흥과 부천, 성남, 부산 등으로 번지고 있다. 대전에서는 84번째 환자가 8일 숨을 거둬 이 지역 사망자가 2명으로 늘었다. 강원도와 충북, 경북에서도 의심 환자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전국구 병원’인 삼성서울병원에서 메르스에 노출됐던 사람이 900여명에 달해 이들의 전염추이 여부에 따라 앞으로 어느 병원에서 언제 또다시 ‘3차, 4차 유행’이 나타날지 가늠할 수조차 없다. 방역 허점을 뚫고 3차 감염이 발생한 것처럼 4차, 5차 감염자도 나올 수 있고, 지역사회 확산이라는 최악의 상황도 배제할 수 없다. 10대로는 처음으로 서울의 한 남자 고등학생이 8일 확진 판정을 받아 메르스가 모든 연령층으로 전방위 확산되고 있는 양상이다.

하지만 좋은 소식도 들려온다. 첫 환자를 진료하다 감염된 5번 환자가 호전돼 이날 퇴원했다. 지난 6일 2번 환자에 이어 두 번째로 완치된 것이다. 퇴원을 준비하는 환자도 늘고 있다고 한다. 여기에 격리 해제자도 583명으로 전날 560명보다 23명이 증가했다. 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이 이날 “(메르스 사태는) 오늘이 가장 피크라고 생각한다”고 전망한 이유도 이런 추세 등 긍정적인 면을 감안한 것이다.

위기 상황인 것은 맞지만 우리의 대처 여하에 따라 메르스를 조기에 종식시킬 수도 있다는 얘기다. 그러기 위해서는 보건 당국의 투명한 정보 공유와 민·관 협력이 톱니바퀴처럼 촘촘하게 돌아가야 한다. 확진자 발생 및 경유 병원명의 실시간 공개, 중앙정부와 지자체 간의 틈새 없는 협력, 국민들의 자발적 협조 등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점이다.

박근혜 대통령은 8일 ‘메르스대책 지원본부’를 방문한 자리에서 “메르스 확산 방지와 완전 종식을 위해 전국가적으로 총력 대응 중에 있다”고 밝혔다. 이런 점에서 위기 단계를 ‘주의’에서 ‘경계’로 격상하는 방안도 적극 검토해야 한다. 국가 이미지 문제가 있다고 하지만 바이러스성 전염병 대처와 관련해서는 과잉 대응이 낫다. 국민들도 대한민국을 일으켜 세운다는 각오로 한마음으로 ‘메르스와의 전쟁’에 발을 벗고 동참해야 한다.